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좌자오향(子坐午向)[한흥가라 7 페이지 / 전적]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자방(子方)을 등지고 오방(午方)을 바라보는 방향. 정북(正北) 방향을 등지고 정남향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좌자오향(子坐午向)[한흥가라 7 페이지 / 전적]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자방(子方)을 등지고 오방(午方)을 바라보는 방향. 정북(正北) 방향을 등지고 정남향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좌장(座長)[어와따님요(어와님요) 4 페이지 / 전적]

여럿이 모인 자리나 단체에서 그 자리를 주재하는 가장 어른이 되는 사람.

좌전(左傳)[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좌씨전(左氏傳)의 준말이요, 좌씨전(左氏傳)은 또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준말임.

좌정(坐定)[회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자리를 잡고 앉아 일을 봄.

좌정(坐定)[간양되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리 잡아 앉음. 남을 높일 때나 점잖게 이를 때에 씀.

좌정(坐定)[간양되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리 잡아 앉음. 남을 높일 때나 점잖게 이를 때에 씀.

좌정(坐定)[한양가라 16 페이지 / 전적]

자리 잡아 앉음.

좌정(坐定)[대동가(동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자리 잡아 앉음.

좌정(坐定)[벽천가 16 페이지 / 전적]

자리에 앉음.

좌정관천(坐井觀天)[셔운가 16 페이지 / 전적]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쳐다본다는 뜻으로, ①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말함②세상(世上) 물정(物情)을 너무 모름.

좌정관천(坐井觀天)[셔운가 16 페이지 / 전적]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쳐다본다는 뜻으로, ①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말함②세상(世上) 물정(物情)을 너무 모름.

좌정관천(坐井觀天)[셔운가 16 페이지 / 전적]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쳐다본다는 뜻으로, ①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말함②세상(世上) 물정(物情)을 너무 모름.

좌정관천(坐井觀天)[셔운가 16 페이지 / 전적]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쳐다본다는 뜻으로, ①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말함②세상(世上) 물정(物情)을 너무 모름.

좌제(左提)하며 우설(右挈)하며[근부가(謹婦歌) 4 페이지 / 전적]

좌제우설(左提右挈).왼쪽으로 끌고, 오른쪽으로 이끈다는 뜻으로, 서로 의지하고 도움을 이르는 말.

좌제우설(左提右挈)[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왼쪽으로 끌고 오른쪽으로 이끈다는 뜻으로, 서로 의지하여 도움을 이르는 말.

좌제우설(左提右挈)[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왼쪽으로 끌고 오른쪽으로 이끈다는 뜻으로, 서로 의지하여 도움을 이르는 말.

좌졍[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5 페이지 / 전적]

좌정(坐定)하사. 앉으시어.

좌주(座主)[송강집(松江集一)1 60 페이지 / 전적]

과거에 합격할 때의 시관(試官)을 이름.

좌지왕(坐知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5 페이지 / 전적]

금관가야의 제6대 왕(? ~421)으로 재위 기간은 407~421년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