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좌망(坐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48 페이지 / 전적]

「坐忘」―思慮가 없음을 말함. 莊子大宗師에「墮肢軆 黜聰明離形去知 同於大道 此謂坐忘」이라 하였음.

좌망(坐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8 페이지 / 전적]

「坐忘」―道家語인데 思慮가 없다는 뜻임. 見上

좌묘(坐卯)[명산록(名山錄) 83 페이지 / 전적]

동쪽을 향하는 방위.

좌묘(坐卯)[구산가(求山歌) 2 페이지 / 전적]

동쪽을 향하는 방위.

좌묵(坐黙)[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묵묵히 앉아 있다.

좌병영[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44 페이지 / 전적]

조선 성종 때 경상도 울산에 둔 병마절도사가 주둔한 경상 좌병영.

좌불안석(坐不安席)[자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않다는 뜻으로,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서 한군데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좌불안석(坐不安席)[경게가라 15 페이지 / 전적]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않다는 뜻으로,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서 한군데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좌불안석(坐不安席)[치황창가 2 페이지 / 전적]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않다는 뜻으로,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서 한군데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좌사 의상(左史倚相)[송강집(松江集七)7 142 페이지 / 전적]

춘추(春秋) 시대의 사람으로 좌사(左史) 벼슬을 지냈음

좌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8 페이지 / 전적]

「席珍」―禮記 儒行에 「儒有席上之珍以待聘」이라 했는데 徐師曾의 말에 의하면「席珍은 喩詞인데 이를테면 사람의 몸에 德을 지닌 것이 席上에 보배가 있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라 하였음.

좌상(左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8 페이지 / 전적]

좌의정(左議政)의 딴이름.

좌상(座上)[츅친서라 9 페이지 / 전적]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

좌상(座上)[옥셜화답 9 페이지 / 전적]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에서 가장 나이가 많거나 으뜸가는 사람.

좌상(座上)[입추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

좌상(座上)[기수가 4 페이지 / 전적]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

좌선우선(左旋右旋)[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6 페이지 / 전적]

태극의 모양. 별자리를 가리키기도 함. 왼쪽으로 돌고 오른쪽으로 돎.

좌선우선(左旋右旋)[몽즁운동가 3 페이지 / 전적]

왼편으로 돌고 오른편으로 돌림. 즉 태극의 모양.

좌선우선(左旋右旋)[구산가(求山歌) 4 페이지 / 전적]

좌우로 돌아 나옴.

좌선우선(左旋右旋)[궁월가라 9 페이지 / 전적]

왼쪽 오른쪽으로 돎.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