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좌수(左手)[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왼손.

좌수영[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44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수군절도사가 있던 영. 경상도와 전라도에 각각 한 군데씩 두었음.

좌승지(左承旨)[송강집(松江集二)2 162 페이지 / 전적]

품계(品階)가 높은 사람을 낮은 관직에 쓰거나 대관(大官)으로 소관(小官)을 겸임하는 것을「行」이라 함.

좌승지(左承旨)[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중추원(中樞院)이나 승정원에 속하여 왕명의 출납을 맡아 하던 정삼품 벼슬.

좌승지(左承旨)[동상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승정원(承政院)의 정삼품(正三品) 당상관(堂上官)으로 정원은 1원임. 왕명의 출납과 육조(六曹)의 업무를 나누어 맡았음. 우승지(右承旨)와 함께 동벽(東壁)이라고 칭함.

좌씨설(左氏說)[송강집(松江集七)7 136 페이지 / 전적]

춘추(春秋) 좌구명(左丘明)의 전(傳)을 이름

좌액낙우(左腋落羽)[구쟉가 9 페이지 / 전적]

왼쪽 겨드랑이에서 떨어진 날개.

좌와가[용문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좌와(坐臥)가. 앉고 눕고 함이.

좌용(㘴容)[경장가(敬長歌) 8 페이지 / 전적]

앉은 자세.

좌용(㘴容)[유례가(幼禮歌) 2 페이지 / 전적]

앉은 자세.

좌우 빈객 첨시중(瞻視中)에[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좌우의 빈객들이 바라보는 속에서

좌우 편장[초암가 4 페이지 / 전적]

편장(片將)은 절에서 일을 감독하는 직책을 맡은 사람인데, 문맥상에서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의미함.

좌우강보(左右疆輔)[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3 페이지 / 전적]

주변의 신하들이 힘써 보필함.

좌우강보(左右疆輔)[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3 페이지 / 전적]

주변의 신하들이 힘써 보필함.

좌우궁장(左右宮墻)[한양가라 7 페이지 / 전적]

왼쪽 오른쪽에 궁궐 담장.

좌우산천(左右山川)[비틀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왼쪽에는 산, 오른쪽에는 강.

좌우산협(左右山峽)[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좌 우 산속의 골짜기.

좌우상(左右相)[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좌의정과 우의정. 좌의정은 조선 시대에, 의정부에 속하여 백관(百官)을 통솔하고 일반 정치 및 외교의 일을 맡아 하던 정일품 벼슬로 우의정의 위, 영의정의 아래 지위임. 우의정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속한 정일품 벼슬을 가리킴.

좌우선(左右旋)[몽즁운동가 4 페이지 / 전적]

좌선우선(左旋右旋)과 같음. 즉 태극의 모양.

좌우선국(左右旋局) 진결(眞結)하여[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8 페이지 / 전적]

좌우의 산형세가 수려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