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주 염계(周濂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4 페이지 / 전적]

「周翁」―周濂溪인데 太極圖說을 지은 바 있음。자세한 사실은 見上。

주 자양(朱紫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62 페이지 / 전적]

「朱紫陽」― 朱子가 楚辭를 註釋하고 屈原의 忠節을 높이 評價 하였으므로 後世의 子雲이란 말을 인용한 것임.

주(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0 페이지 / 전적]

「周家曲水」-晋書束皙傳에「옛날에 周公이 樂邑에 城을 쌓고 流水를 因하여 술잔을 띄웠다. 그러므로 逸詩에 이르기를 「羽觴泛波」라 했다』하였음.

주(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8 페이지 / 전적]

「周家崧嶽」―詩經 大雅 崧高章에「崧高維嶽 峻極于天 維嶽降神 生甫及申」이라는 句가 있으므로 이를 들어 申光漢에게 비유한 것임.

주(周)나라[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 페이지 / 전적]

중국의 고대 왕조.(1050〜256 B.C)

주(廚)할[효봉구고치산가 7 페이지 / 전적]

부엌을 드러가 보니. 주(廚)는 부엌이라는 뜻.

주(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5 페이지 / 전적]

「寶瑟高柱」―湘靈의 皷瑟을 말함.

주(洲)[ 1 페이지 / ]

섬 또는 모래톱, 혹은 작은 섬.

주(紂)[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주왕(紂王). 중국 은나라의 마지막 임금. 이름은 제신(帝辛). 주(紂)는 시호(諡號). 지혜와 체력이 뛰어났으나, 주색을 일삼고 포학한 정치를 하여 인심을 잃어 주나라 무왕(武王)에게 살해됨.

주(紂)[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주왕(紂王). 중국 은나라의 마지막 임금. 이름은 제신(帝辛). 주(紂)는 시호(諡號). 지혜와 체력이 뛰어났으나, 주색을 일삼고 포학한 정치를 하여 인심을 잃어 주나라 무왕(武王)에게 살해됨.

주가(酒家)[오륜가라 37 페이지 / 전적]

술집.

주갑(周甲)[남자답가라(남답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환갑(還甲).

주견(周見)[구산가(求山歌) 4 페이지 / 전적]

두루 살펴 봄.

주경(周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6 페이지 / 전적]

「周京」―周나라 서울을 말함.

주경야독(晝耕夜讀)[오륜가라 19 페이지 / 전적]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함을 이르는 말.

주경야독(晝耕夜讀)[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함.

주경야독(晝耕夜讀)[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함.

주경야독(晝耕夜讀)[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함을 이르는 말.

주경야독(晝耕夜讀)[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29 페이지 / 두루마리]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함을 이르는 말.

주경야독(晝耕夜讀)[옥산가라 56 페이지 / 전적]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함을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