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좌지우지(左之右之) 도우셔서[회경가 21 페이지 / 전적]
뜻하는 대로 마음껏 도와서
좌차(座次)[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6 페이지 / 전적]
좌석의 차례.
좌찬성(左贊成)[팔도안희가 2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의정부에 속하여 백관(百官)을 통솔하고, 정사(政事)의 처리, 국토 계획, 외교 따위를 맡아 하던 종일품 벼슬이다.
좌천(左遷)[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낮은 관직이나 지위로 떨어지거나 외직으로 전근됨을 이르는 말. 예전에 중국에서 오른쪽을 숭상하고 왼쪽을 멸시했던 데서 유래함.
좌천(左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0 페이지 / 전적]
낮은 관직이나 지위로 떨어짐.
좌첨우고(左瞻右顧)[가야희인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왼쪽을 바라보고 오른쪽을 돌아봄. 즉 이쪽 저쪽을 바라봄.
좌청룡[은삭가 3 페이지 / 전적]
좌청룡(左靑龍)은 풍수지리에서, 주산의 왼쪽에 있다는 뜻으로 청룡을 이르는 말.
좌청룡[은삭가 3 페이지 / 전적]
좌청룡(左靑龍)은 풍수지리에서, 주산의 왼쪽에 있다는 뜻으로 청룡을 이르는 말.
좌청우청(左聽右聽)[문슈동소챵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좌우 여기저기에서 모두 들었다.
좌충우돌(左衝右突)[옥산가라 8 페이지 / 전적]
이리저리 마구 찌르고 부딪침.
좌태(左台)[송강집(松江集二)2 199 페이지 / 전적]
좌상(左相).
좌편(左便)[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 페이지 / 전적]
왼쪽.
좌평(佐平)[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1 페이지 / 전적]
백제 때에 둔 전체 십육 관등 가운데 첫째 등급. 고이왕 27년(260)에 둔 것으로, 내신좌평ㆍ내두좌평ㆍ내법좌평ㆍ위사좌평ㆍ조정좌평ㆍ병관좌평의 여섯 좌평이 있었다.
좌평(佐平)[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6 페이지 / 전적]
백제 때에 둔 전체 십육 관등 가운데 첫째 등급을 이르는 말로 고이왕 27년(260)에 둔 것으로, 내신(內臣)·내두(內頭)·내법(內法)·위사(衛士)·조정(朝廷)·병관(兵官)의 여섯 좌평이 있었다.
좌포우혜(左脯右醯)[ 1 페이지 / ]
좌포 우혜(左脯右醯)를 말함. 즉, 제사의 제물을 진설할 때, 육포(肉脯)는 왼쪽에, 식혜(食醯)는 오른쪽에 차리는 격식.
좌포우혜(左脯右醯)[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6 페이지 / 전적]
좌포 우혜(左脯右醯)를 말함. 즉, 제사의 제물을 진설할 때, 육포(肉脯)는 왼쪽에, 식혜(食醯)는 오른쪽에 차리는 격식.
좌필서향(坐必西向)[권왕가 56 페이지 / 전적]
앉는 데는 반드시 서쪽을 향해서 앉음.
좌하(座下)[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5 페이지 / 전적]
윗사람이나 친구를 높여 그의 호칭이나 이름 아래 쓰는 말.
좌하(座下)[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7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 52) 참조.
좌하(座下)[수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받들어 모시는 자리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