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주남(周南)[석천집(石川集二-三)2-3 121 페이지 / 전적]

주(周)나라 때의 지명. 옹주(雍州)의 기산(岐山)의 남쪽에 있었으며, 주태왕(周太王)이 처음에 살았던 곳이다. 여기서는 영남지방(嶺南地方)이 우리나라의 남쪽에 위치한 관계로 이러한 표현을 했다.

주남(周南) 소남(召南)[화전가1 3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의 편 이름.

주남(周南) 소남(召南)[화전가2 3 페이지 / 전적]

주남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8 페이지 / 전적]

「周南」- 詩經 風의 하나인데 모두 周나라 民俗의 歌謠임. 詩經原始에『周는 地名인데 雍州 岐山의 陽에 있다. 周의 太王이始居하였으므로 國號를 周라 했다. 武王에 이르러 天下를 차지하게 되자 또 그 땅을 나누어 아우 旦의 釆邑으로 만들었다. 이때의 周는 周初의 地名이니 採集한 民間歌謠가 周地에서 얻어진 것은 모두 周南에 繫하였다』라 했음.

주단연길(柱單涓吉)[명륜가(明倫歌) 21 페이지 / 전적]

사주단자와 결혼 날짜 택일.

주달(奏達)[조씨가천소리 2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께 아룀.

주달(奏達)[갑지녹이라 9 페이지 / 전적]

임금에게 아룀.

주달(奏達)[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2 페이지 / 전적]

임금에게 아뢰던 일.

주달(走達)[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9 페이지 / 전적]

달려가 전달함.

주당(酒黨)[기수가 4 페이지 / 전적]

술을 즐기고 잘 마시는 뮈.

주도여지(主道餘地)[사친가2(思親歌(二)) 13 페이지 / 전적]

어떤 지역이나 지점에 이르는 주된 도로의 나머지 땅.

주돈이(周敦頥1017~1073)[화전가1 8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의 사상가이다. 성리학의 기초를 닦았다. 자는 무숙(茂叔) 호는 염계(濂溪) 시(諡)는 원공(元公)이다. 도주 영도(道州 營道- 지금의 하남성)출신이다.

주란화각(朱欄畵閣)[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단청을 곱게 하여 아름답게 꾸민 누각.

주란화각(朱欄畵閣)[로인가 5 페이지 / 전적]

붉은 칠을 한 난간이 있는 아름다운 집. 곧 크고 보기 좋은 집을 뜻함.

주렁[후원초당 봄이듯이 7 페이지 / 두루마리]

지팡이. 여기서는 주머니라는 뜻인 듯.

주려(朱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28 페이지 / 전적]

「朱呂寒泉編」-朱는 朱晦掩, 呂는 呂東萊이며 寒泉編은 近思錄을 말한 것인데 晦掩이 寒泉精舍에서 呂東萊와 함께 周 ․ 程 ․ 張子의 書를 읽고서 이 책을 編成하였음。

주려보니[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7 페이지 / 전적]

눈여겨보니. 노려보니. 자세히 보니.

주련(柱聯)[셔유곡 10 페이지 / 전적]

기둥이나 벽 따위에 장식으로 써서 붙이는 글귀. 주로 한시(漢詩)의 연구(聯句)를 쓴다.

주렴(珠簾)[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6 페이지 / 전적]

구슬 따위를 꿰어 만든 발.

주렴(珠簾)[경게가라 3 페이지 / 전적]

구슬 따위를 꿰어 만든 발.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