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주목왕(周穆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4 페이지 / 전적]
「周穆王」―이름은 滿이요 昭王의 子인데, 卽位한 後에 八駿馬를 타고 造父로 御를 삼아 西征하여 즐겨 노닐며 돌아올 줄을 몰랐다.
주목왕(周穆王)[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3 페이지 / 전적]
목천자(穆天子). 주나라의 5대 천자로 재위 중에 팔준마를 타고 서쪽정벌에 나섰는데, 그 일에 빠져 돌아오지 않음.
주목왕(周穆王)[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3 페이지 / 전적]
목천자(穆天子). 주나라의 5대 천자로 재위 중에 팔준마를 타고 서쪽정벌에 나섰는데, 그 일에 빠져 돌아오지 않음.
주목왕(周穆王)[역대가라(역가라) 7 페이지 / 전적]
주(周)나라 제5대 임금. 즉위후에 8준마를 타고 서쪽을 정벌하여
주무왕(周武王)[역대가라(역가라) 6 페이지 / 전적]
주나라 1대 왕이다.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이름은 발(發)이다. 문왕에 이어 서백(西伯)이 되었다가, 군사를 일으켜 은나라 폭군 주왕(紂王)을 치고 천자(天子)가 되어 국호를 주(周)라 했다.
주무왕(周武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3 페이지 / 전적]
주나라의 무왕(武王)을 이르는 말. 무왕은 중국 주나라의 제1대 왕(?~?)으로 성은 희(姬), 이름은 발(發)이다. 은 왕조를 무너뜨리고 주 왕조를 창건하여, 호경(鎬京)에 도읍하고 중국 봉건 제도를 창설하였다. 후대에 현군(賢君)으로 평가받았다.
주문(呪文)[론학가권지일 32 페이지 / 전적]
하느님에게 경사를 비는 글.
주문(呪文)[론학가권지일 32 페이지 / 전적]
하느님에게 경사를 비는 글.
주문(奏文)[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2 페이지 / 전적]
임금에게 상주하는 글.
주문(朱門)[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지위가 높은 벼슬아치의 집을 이르던 말.
주문(朱門)[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붉게 칠한 대문. 지위가 높은 벼슬아치의 집을 가리킴.
주문(朱門)[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붉게 칠한 대문. 지위가 높은 벼슬아치의 집을 가리킴.
주문(朱門)[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붉게 칠한 대문. 지위가 높은 벼슬아치의 집을 가리킴.
주문왕(周文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7 페이지 / 전적]
「文王陟降」― 詩 大雅 文王에 「文王陟降 在帝左右」라는 句가있다. 이 詩는 周公이 文王의 德을 追述한 것인데, 대개 文王의 神이 하늘에 있어, 一升一降하며 어느때고 帝의 左右에 있지 아니함은 없으므로 子孫이 그 福澤을 입어 天下를 차지하게 되었다는 뜻임.
주문왕(周文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주(周)나라 건국의 기초를 닦은 명군으로 무왕의 아버지임. 그가 죽은 뒤, 아들 무왕이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를 창건하였으며, 그에게 문왕이라는 시호를 추존하였음.
주문왕(周文王)[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주나라 문왕을 말한다.
주문왕(周文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주(周)나라 건국의 기초를 닦은 명군으로 무왕의 아버지임. 그가 죽은 뒤, 아들 무왕이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를 창건하였으며, 그에게 문왕이라는 시호를 추존하였음.
주문왕(周文王)[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주나라 문왕을 말한다.
주문왕(周文王)[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6 페이지 / 전적]
주나라의 문왕.
주문왕(周文王)[춘몽가(츈몽가) 36 페이지 / 전적]
중국 주나라 때에, 목왕이 사랑하던 여덟 마리의 준마.화류(華騮), 녹이(綠耳), 적기(赤驥), 백의(白義), 유륜(踰輪), 거황(渠黃), 도려(盜驪), 산자(山子)를 이르며 역사적으로 유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