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주렴(珠簾)[경게가라 3 페이지 / 전적]

구슬 따위를 꿰어 만든 발.

주렴(珠簾)[평지행룡(平地行龍) 1 페이지 / 전적]

구슬을 꿰어 만든 발.

주렴(珠簾)[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 페이지 / 전적]

구슬을 꿰어 만든 발.

주렴(珠簾)[쌍옥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구슬 따위를 꿰어 만든 발.

주렴(珠簾)[셔유곡 19 페이지 / 전적]

구슬 따위를 꿰어 만든 발.

주렴(珠簾)[후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구슬로 만든 발.

주렴(珠簾)은 모권서산우(暮捲西山雨)하니[슈양가 4 페이지 / 전적]

해질 무렵, 서쪽 산에 비가 오니 주렴을 걷음. 주렴은 구슬로 만든 발.

주렴계(周濂溪)[화전가2 8 페이지 / 전적]

주돈이(周敦頥1017~1073)는 중국 송나라의 사상가이다. 성리학의 기초를 닦았다. 자는 무숙(茂叔) 호는 염계(濂溪) 시(諡)는 원공(元公)이다. 도주 영도(道州 營道- 지금의 하남성)출신이다.

주렴계가 해설한 것을[석천집(石川集二-二)2-2 239 페이지 / 전적]

염계 주돈이(周敦頤)가 <애련설(愛蓮說)>을 지었다.

주렴취각(珠簾翠閣)[청춘사연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주렴을 드리운, 푸른빛이 도는 아름다운 누각.

주령(主嶺)[인일가라 7 페이지 / 전적]

잇따라 있는 고개 가운데 가장 높은 고개.

주령으로[화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심이 된 고개 또는 산맥.

주례(周禮) 팔형(八刑)[ 1 페이지 / ]

중국 경서(經書)의 하나. 주곡(周公)이 편했다고 전해옴. 중국 주대(周代)의 여덟 가지 형벌. 불효(不孝)·불목(不睦)·불인(不姻)·불임(不姙)· 부제(不弟)·불휼(不恤)·조언(造言)·난민(亂民) 등에 대한 벌.

주례(周禮)[송강집(松江集三)3 111 페이지 / 전적]

주공(周公)이 관제(官制)를 마련하며 직장(職掌)을 세밀히 기록한 책

주례(周禮) 팔형(八刑)[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100 페이지 / 전적]

중국 경서(經書)의 하나. 주곡(周公)이 편했다고 전해옴. 중국 주대(周代)의 여덟 가지 형벌. 불효(不孝)·불목(不睦)·불인(不姻)·불임(不姙)·부제(不弟)·불휼(不恤)·조언(造言)·난민(亂民) 등에 대한 벌.

주례(周禮), 팔형(八刑)[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3 페이지 / 전적]

중국 경서(經書)의 하나. 주곡(周公)이 편했다고 전해옴, 중국 주대(周代)의 여덟 가지 형벌. 불효(不孝), 불목(不睦), 불인(不姻), 불임(不姙), 부제(不弟), 불휼(不恤), 조언(造言), 난민(亂民) 등에 대한 벌.

주뢰(周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3 페이지 / 전적]

주리의 옛말로 죄인의 두 다리를 한데 묶고 다리 사이에 두 개의 주릿대를 끼워 비트는 형벌.

주룡(主龍)[구산가(求山歌) 3 페이지 / 전적]

주산(主山)-무덤의 뒤쪽에 있는 산.

주류(周流)[자심운수가(심운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두루 돌아다님.

주류(周流)[별한가 37 페이지 / 전적]

두루 돌아다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