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주색(酒色)[자경별곡(自警別曲) 2 페이지 / 전적]

술과 계집.

주색(酒色)[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1 페이지 / 전적]

①술과 계집 음주(飮酒)와 여색 ②얼굴에 드러난 술기운(-氣運).

주색(酒色)[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1 페이지 / 전적]

①술과 계집 음주(飮酒)와 여색 ②얼굴에 드러난 술기운(-氣運).

주색(酒色)[대비훈민가 6 페이지 / 전적]

①술과 계집 음주(飮酒)와 여색 ②얼굴에 드러난 술기운(-氣運).

주색(酒色)[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술과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주색잡기(酒色雜技)[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8 페이지 / 전적]

술과 계집과 노름.

주색잡기(酒色雜技)[청년남녀훈계가 8 페이지 / 전적]

술과 여자와 노름.

주색잡기(酒色雜技)[청년남녀훈계가 8 페이지 / 전적]

술과 여자와 노름.

주색잡기(酒色雜技)[창덕가2 52 페이지 / 전적]

술과 여자와 노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

주색잡기(酒色雜技)[창덕가2 53 페이지 / 전적]

술과 여자와 노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

주서(奏書)[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6 페이지 / 전적]

임금에게 올리던 문서.

주서(注書)[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 속한 정칠품 벼슬로서, 승정원의 기록, 특히

주서(注書)[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내사성 또는 중서성에 속한 종칠품 벼슬.

주서(注書)[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내사성 또는 중서성에 속한 종칠품 벼슬.

주서(注書)[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내사성 또는 중서성에 속한 종칠품 벼슬.

주서(注書)[한양가라 3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승정원에 속한 정칠품 벼슬.

주서(注書)[김씨효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 시대에, 내사성 또는 중서성에 속한 종칠품 벼슬. 뒤에 도첨의주서, 문하주서, 첨의주서 따위로 여러 번 고쳤음. 조선 전기에, 문하부에 속한 정칠품 벼슬. 당후관을 고친 것. 조선 시대에, 승정원에 속한 정칠품 벼슬. 승정원의 기록, 특히 '승정원일기'의 기록을 맡아보았음.

주석(主席)[금강산유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주가 되는 자리. 최고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는 사람.

주석(酒席)[환행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술자리.

주석(酒席)[환행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술자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