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주인 영기(主人靈氣)[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손님맞이를 할 주인의 영묘한 기운.
주인 찾아 가르치고[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7 페이지 / 전적]
적선인(積善人)을 기다려 혈(穴)을 가르쳐 줌.
주인(主人)[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34 페이지 / 전적]
경주인(京主人) 또는 영주인(營主人). 고려․조선시대 지방관청과 중앙의 연락사무를 맡아보기 위해 지방으로부터 파견된 향리. 이들은 해당지역의 공물(貢物), 입역(立役) 등에 관한 사무를 책임졌다.
주인공(主人公)[자책가(가) 2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에서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인물.
주인공(主人公)[자책가(가) 16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에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인물.
주인성체(主人星體)[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6 페이지 / 전적]
주인봉의 산 모양을 살펴보니.
주인영서(主人迎壻)[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장인이 신랑을 맞이함.
주인영서(主人迎壻)[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장인이 신랑을 맞이함.
주인옹(主人翁)[송강집(松江集一)1 117 페이지 / 전적]
사람의 마음을 이름.
주인은 동계(東階)로 나가고 객인은 서계(西階)로 나가되[빈주접례가(賓主接禮歌) 4 페이지 / 전적]
주인은 동쪽 계단으로 나가고 손님은 서쪽 계단으로 나가되.
주인이 불문(不問)어시든 객이 먼저 거언(擧言)말세[빈주접례가(賓主接禮歌) 5 페이지 / 전적]
주인이 묻지 않으면 손이 먼저 말하지 않는다.
주인이 불문(不問)어시든 객이 먼저 거언(擧言)말세[통륜가(通倫歌) 1 페이지 / 전적]
주인이 묻지 않으면 손이 먼저 말하지 않는다.
주인주부(主人主婦)[명륜가(明倫歌) 33 페이지 / 전적]
제사를 주관하는 내외간.
주인주부(主人主婦)[오윤가 15 페이지 / 전적]
한 집안의 제사를 맡아 받드는 사람과 그 아내.
주인출영(主人出迎)[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신랑이 신부 집에 당도하여 주인이 신랑을 맞이하는 것.
주인출영(主人出迎)[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신랑이 신부 집에 당도하여 주인이 신랑을 맞이하는 것.
주일무적(主一無適)[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마음을 한 군데 집중하여 잡념(雜念)을 없앤다는 의미로 경(敬)을 설명한 말임. 정자(程子)•주자(朱子) 이후 송유(宋儒)들의 수양설(修養說)이었음.
주일무적(主一無適)[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마음을 한 군데 집중하여 잡념(雜念)을 없앤다는 의미로 경(敬)을 설명한 말임. 정자(程子)•주자(朱子) 이후 송유(宋儒)들의 수양설(修養說)이었음.
주자(周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4 페이지 / 전적]
「周子善喩」-宋儒 周敦頤의 愛蓮說에『菊之愛陶後鮮有聞』이라 했음.
주자(朱子)[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주희’를 높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