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주저〔夷猶〕[송강집(松江集三)3 18 페이지 / 전적]
뒤를 돌아보며 선뜻 가지 못하는 형용임
주적주적[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어린아이가 자꾸 비틀거리며 귀엽게 걷는 모양을 나타냄.
주적주적[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주적거리는 모양.주적거리다. : 어린아이가 걸음발타며 비틀거리며 귀엽게 걷다. 또는, 주책없이 잘난 채하며 자꾸떠들다.
주전옥반(珠轉玉盤)[금강산유람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옥쟁반 위에서 구슬이 구름. 또는 옥쟁반 위에서 구슬이 구르는 아름다운 소리.
주정(周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1 페이지 / 전적]
「周程」- 周는 周敦頤, 程은 程顥 程頤인데 모두 宋代의 巨儒임.
주졔구[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5 페이지 / 전적]
주재구졔(主宰救濟). 자신의 일을 스스로 건사하고 구완하는 일.
주조(鑄造)[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7 페이지 / 전적]
쇠를 녹여서 물건(物件)을 만듦.
주주야야(晝晝夜夜)[명륜가(明倫歌) 67 페이지 / 전적]
낮이면 낮마다 밤이면 밤마다.
주주야야(晝晝夜夜)[무제(▩▩▩▩) 11 페이지 / 두루마리]
낮과 밤을 강조하는 말.
주주야야(晝晝夜夜)[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낮과 밤을 강조하는 말로 ‘밤낮 가리지 않고’라는 뜻이다.
주주야야(晝晝夜夜)[무제(▩▩▩▩) 11 페이지 / 두루마리]
낮과 밤을 강조하는 말.
주주야야(晝晝夜夜)[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낮과 밤을 강조하는 말로 ‘밤낮 가리지 않고’라는 뜻이다.
주주야야(晝晝夜夜)[대동가(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주야’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주주야야(晝晝夜夜)[칠여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주야’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주주야야(晝晝夜夜)[여자석별가 1 페이지 / 전적]
주야'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주주야야(晝晝夜夜)[낙향이별가 10 페이지 / 전적]
밤낮으로.
주주야야(晝晝夜夜)[형제이회가(형이회가) 5 페이지 / 전적]
주야(晝夜)를 강조하는 말.
주주야야(晝晝夜夜)[형제이회가(형이회가) 5 페이지 / 전적]
주야(晝夜)를 강조하는 말.
주준(酒樽)[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1 페이지 / 전적]
술통.
주중(舟中)[선유가라 5 페이지 / 전적]
배의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