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주중천자(酒中天子)[옥설가라 19 페이지 / 전적]
술로 유명했던 당나라 때 시인 이백을 말함.
주즙(舟楫)[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8 페이지 / 전적]
배와 삿대라는 뜻으로, 배 전체를 이르는 말.
주지번[팔역가(八域歌) 12 페이지 / 전적]
연광정에 올라 ‘천하제일 강산’ 6글자를 쓴 명나라 사신
주차장관(駐箚將官)[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2 페이지 / 전적]
외국의 어느 곳에 와 체재하고 있는 관리.
주찬(酒饌)[봉별가 17 페이지 / 전적]
술과 음식.
주창(主唱)[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주의(主義)나 주장(主張)을 앞장 서서 부르짖음.
주창(主唱)[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주의나 사상을 앞장서서 주장함.
주청(奏請)[송강집(松江集二)2 203 페이지 / 전적]
상주(上奏)하여 청원(請願)하는 것.
주청림(走靑林)[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청림으로 달려가다.청림은 도를 이루어 난세에 많은 사람들을 구원할 이를 뜻한다.
주청사(奏請使)[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35 페이지 / 전적]
사위嗣位나 책봉, 변경邊境에 관한 일등을 중국에 알리기 위하여 보내는 사신.
주청서장관(奏請書狀官)[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5 페이지 / 전적]
외교문서의 작성과 사절 일행의 감찰에 관한 일을 맡았던 서장관으로서 자신의 임무를 임금께 보고하는 것.
주초(柱礎)[궁장가(宮牆歌) 3 페이지 / 전적]
주춧돌.
주초(柱礎)[궁장가(宮牆歌) 3 페이지 / 전적]
주춧돌.
주추[도덕가라 3 페이지 / 전적]
기둥 밑에 괴는 돌 따위의 물건.
주출망량(晝出魍魎)[몽경시화가(夢警時和歌) 15 페이지 / 전적]
대낮에 나타난 도깨비.
주출망량(晝出魍魎)[몽즁운동가 5 페이지 / 전적]
낮도깨비. 체면 없이 마구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춤주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 페이지 / 전적]
「屏營」- 彷徨과 같은 말임. 國語에「屏營彷徨于山林之中」이란 대문이 있음.
주취(酒臭)[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술에 취해 풍기는 냄새.
주취(酒臭)[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술에 취해 풍기는 냄새.
주평왕(周平王)[충효가 4 페이지 / 전적]
주나라 제13대 왕, 기원전 770년에 도읍(都邑)을 장안(長安)에서 낙양(洛陽)으로 옮겨 동주(東周) 시대를 열었음. 천종대성(天縱大聖) 이라 함은 뒷 구절로 미루어 공자의 탄생을 말함인데, 공자는 주 영왕(靈王) 20년(기원전 552)에 노나라 현재의 산동성 곡부(曲阜)에서 태어났으니, 이는 착오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