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주자(朱子)[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주희’를 높여 이르는 말.
주자대전(朱子大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 페이지 / 전적]
「紫陽」- 산 이름。宋나라 선비 朱松이 이 산에서 글을 읽었는데 그 아들 朱熹가 福建의 崇安縣에 살면서 廳事에 旁하여 紫陽書室이라 하였다。 그래서 後人이 朱子를 稱하여 紫陽이라 함。
주자대전(朱子大全), 가례(家禮), 심경(心經), 근사록(近思錄)[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61 페이지 / 전적]
중국 송(宋)나라 때에 철학을 집대성한 유학자 주희(朱熹)에 관한 사항을 빠짐없이 모아 편찬한 책, 주자가례(朱子家禮)의 약칭. 중국 명(明)나라 때에 구준(丘濬)이 가례에 관한 주자의 학설을 수집하여 만든 책, 중국 송(宋)나라의 진덕수(眞德秀)의 저서. 정심(正心)으로써 근본 삼을 것을 대지(大旨)로 한 책, 중국 송(宋)나라 때에 주자가 그의 제자인 여동래(呂東萊)와 함께 엮은 책.
주작(朱雀)[옥셜화답 3 페이지 / 전적]
이십팔수 가운데 남서쪽에 있는 일곱 별로서, 그곳을 지킨다는 신령. 예로부터 남쪽 방위를 맡고 있다는 신을 상징하는 짐승으로, 무덤과 관의 앞쪽에 그렸는데, 붉은 봉황을 형상화하였음.
주작(朱雀)[한양가라 7 페이지 / 전적]
사신(四神)의 하나. 남쪽 방위를 지키는 신령을 상징하는 짐승을 이른다. 붉은 봉황으로 형상화하였다.
주작(走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38 페이지 / 전적]
「走作」-本有의 規範을 벗어났다는 말임。
주작방(朱雀方)[사친가1(思親歌(一)) 9 페이지 / 전적]
주작의 방향, 즉 남쪽. 주작(朱雀) : 28수(宿) 가운데 남서쪽에 있는 일곱 별로서, 그곳을 지키는 신령. 예로부터 남쪽 방위를 맡고 있다는 신을 나타낸 짐승.
주작부언(做作浮言)[조심가라 12 페이지 / 전적]
터무니없는 말을 지어냄.
주작부언(做作浮言)[조심가라 12 페이지 / 전적]
터무니없는 말을 지어냄.
주장(主將)[대비훈민가 16 페이지 / 전적]
①우두머리 되는 장수(將帥) ②운동(運動) 경기(競技)의 팀을 통솔(統率)하는 선수(選手).
주장(主將)[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
주장(主掌)[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책임지고 맡음. 또는 그런 사람.
주장(主掌)[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오로지 맡아서 보는 것.
주장(主掌)[청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오로지 맡아보는 것.
주장(周章)[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놀라서 어찌할 바를 모름.
주장(朱張)[송강집(松江集六)6 26 페이지 / 전적]
주희(朱熹)와 장재(張載)를 이름
주장복망(走獐伏網)[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9 페이지 / 전적]
거미가 그물을 쳐 놓은 형상.
주재(主宰)[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8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중심이 되어 맡아 처리함.
주재(主宰)[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8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중심이 되어 맡아 처리함.
주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 페이지 / 전적]
「夷猶」-夷由와 같은 말인데 遲疑하여 선뜻 결정 못하는 것을 이름. 楚辭九歌에「君不行兮夷猶」라는 글구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