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주순호치(朱脣皓齒)[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9 페이지 / 전적]

붉은 입술과 흰 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인을 가리킴.

주순호치(朱脣皓齒)[뎡슝샹회방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단순호치(丹脣皓齒).

주순호치(朱脣皓齒)[셔유곡 12 페이지 / 전적]

단순호치(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주순홍장(朱脣紅粧)[우미인가라 3 페이지 / 전적]

연지 따위로 입술 등을 붉게 칠함.

주순홍장(朱脣紅粧)[우미인가라 3 페이지 / 전적]

연지 따위로 입술 등을 붉게 칠함.

주실(周室)[옥셜화답 3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상(商)나라 다음의 왕조로서, 이전의 하(夏)·상과 더불어 삼대(三代)라 함. 요(堯)·순(舜)의 시대를 이어 받은 이상의 치세(治世)가 행해졌던 왕조로 여겨지고 있으며, 호경(鎬京)을 수도로 하였던 주를 서주(西周), 이후 동천(東遷)하여 낙읍(洛邑)을 도읍으로 삼은 주를 동주(東周)라 하는데, 춘추전국시대 때 각 국은 저마다 주나라의 정통성을 명분으로 내세웠음.

주아부[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전한 시대의 정치가로 문제를 도와 흉노를 정벌함

주안(酒案)[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1 페이지 / 전적]

술과 안주를 차려놓은 상.

주안(酒案)[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술상.

주안(酒案)[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술상.

주야 육시(晝夜六時)[권왕가 7 페이지 / 전적]

밤낮을 통한 여섯 때. 육시(六時) : 하루를 여섯으로 나눈 염불 독경의 시간. 즉, 신조(晨朝) ․ 일중(日中) ․ 일 몰(日沒) ․ 초야(初夜) ․ 중야(中夜) ․ 후야(후야).

주야 육시(晝夜六時)[권왕가 7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62 참조. 비주(飛酒) : 분배(分配)한다는 뜻.

주야(晝夜)[원유가(遠遊歌) 7 페이지 / 전적]

낮과 밤

주야(晝夜)[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낮과 밤.

주야(晝夜)[백발가(白髮歌) 7 페이지 / 전적]

밤낮.

주야(晝夜)[몽유가(몽류가) 13 페이지 / 전적]

밤낮. 쉬지 아니하고 계속함.

주야(晝夜)[경기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밤낮. 쉬지 아니하고 계속함.

주야(晝夜)[몽유가(몽류가) 13 페이지 / 전적]

밤낮. 쉬지 아니하고 계속함.

주야(晝夜)[경기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밤낮. 쉬지 아니하고 계속함.

주야(晝夜)[이별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밤낮. 밤이나 낮이나 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