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주야축원(晝夜祝願)[자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밤낮을 가리지 않고 희망하는 대로 이루어지기를 마음 속으로 원함.

주역 팔괘[효자가 7 페이지 / 전적]

주역(周易)은 역경(易經)이라고 이르며 고대 중국의 철학서로 삼경의 하나이다. 팔괘(八卦)는 주역의 바탕이 된 철학의 원리로 8가지로 나누어진다. 곧 건(乾), 태(兌), 리(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이 팔괘이다.

주역(周易[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학 오경(五經)의 하나. 만상(萬象)을 음양 이원으로써 설명하여 그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거기서 64괘를 만들었는데, 이에 맞추어 철학ㆍ윤리ㆍ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였음.

주역(周易[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학 오경(五經)의 하나. 만상(萬象)을 음양 이원으로써 설명하여 그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거기서 64괘를 만들었는데, 이에 맞추어 철학ㆍ윤리ㆍ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였음.

주역(周易[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학 오경(五經)의 하나. 만상(萬象)을 음양 이원으로써 설명하여 그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거기서 64괘를 만들었는데, 이에 맞추어 철학ㆍ윤리ㆍ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였음.

주역(周易)[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역경(易經). 유교 경전 가운데 육경(六經)의 하나.

주역(周易)[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3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철학서로 육경(六經)의 하나. 만상(萬象)을 음양으로 설명하여 그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거기서 64괘를 만들었는데, 이에 맞추어 철학·윤리·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였음.

주역(周易)[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2 페이지 / 전적]

유교의 3대 경전 중 하나인 『역경(易經)』. 주역(周易)이란 주(周)나라의 역(易)이란 뜻임. 역(易)은 ‘바뀌다, 변하다’란 뜻이며 천지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고 풀이한 것임. 8괘와 64괘, 그리고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되어 있음.

주역(周易)[해몽가라(몽가라) 10 페이지 / 전적]

유교의 3경(三經) 중 하나인 『역경(易經)』. 주역(周易)이란 주나라의 역(易)이란 말이며, 이전에도 하나라 때의 연산(演算), 상나라의 귀장(歸藏)이 있었다고 함. 역이란 말은 ‘바뀐다’, ‘변한다’는 뜻이며 천지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고 풀이한 것임. 주역은 8괘(八卦)와 64괘, 그리고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되어 있음.

주역(周易)[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2 페이지 / 전적]

유교의 3대 경전 중 하나인 『역경(易經)』. 주역(周易)이란 주(周)나라의 역(易)이란 뜻임. 역(易)은 ‘바뀌다, 변하다’란 뜻이며 천지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고 풀이한 것임. 8괘와 64괘, 그리고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되어 있음.

주역(周易)[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의 경전(經典) 중 3경(三經)의 하나인 《역경(易經)》. 단순히 《역(易)》이라고도 함.

주역(周易)[씨름판가(시름판가) 3 페이지 / 전적]

유학 오경(五經)의 하나.만상(萬象)을 음양 이원으로써 설명하여 그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거기서 64괘를 만들었는데, 이에 맞추어 철학·윤리·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였다.

주역(周易)[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9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철학서.육경(六經)의 하나로 만상(萬象)을 음양 이원으로써 설명하여 그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거기서 64괘를 만들었는데, 이에 맞추어 철학·윤리·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이고 있다.

주역(周易)[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1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철학서.육경(六經)의 하나로 만상(萬象)을 음양 이원으로써 설명하여 그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거기서 64괘를 만들었는데, 이에 맞추어 철학·윤리·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이고 있다.

주역(周易)[녁대가(녁가) 65 페이지 / 전적]

유교의 3대 경전 중 하나인 『역경(易經)』. 주역(周易)이란 주(周)나라의 역(易)이란 뜻임. 역(易)은 ‘바뀌다, 변하다’란 뜻이며 천지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고 풀이한 것임. 8괘와 64괘, 그리고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되어 있음.

주역(周易)[무제(양신택졍하여) 15 페이지 / 전적]

유학 오경(五經)의 하나. 만상(萬象)을 음양 이원으로써 설명하여 그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거기서 64괘를 만들었는데, 이에 맞추어 철학ㆍ윤리ㆍ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였음.

주역(周易)[별한가 2 페이지 / 전적]

유학 오경(五經)의 하나. 만상(萬象)을 음양 이원으로써 설명하여 그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거기서 64괘를 만들었는데, 이에 맞추어 철학ㆍ윤리ㆍ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였음.

주역(周易), 경전(經傳), 천존지비(天尊地卑), 이기(理氣)[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61 페이지 / 전적]

역경(易經). 유교 경전 가운데 육경(六經)의 하나, 경서와 그 해설서, 하늘을 존중하고, 땅은 천시한다는 뜻으로, 윗사람만 받들고 아랫사람은 천하게 여긴다는 말, 성리학에서 말하는 우주의 본체인 이(理)와 그 현상인 기(氣). 곧 태극(太極)과 음양(陰陽).

주역괘(周易卦)[권학가 9 페이지 / 전적]

음양 변화의 원리 등을 해명하는 주역의 골자를 이루는 괘.

주역괘(周易卦)[도덕가 1 페이지 / 전적]

음양 변화의 원리 등을 해명하는 주역의 골자를 이루는 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