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주품(奏稟)[일회심곡(一回心曲) 6 페이지 / 전적]

주달(奏達). 임금에게 아뢰던 일.

주품(奏稟)[서가여래가사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께 아룀.

주품(奏稟)[서가여래가사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께 아룀.

주하(廚下)[복션화음록 6 페이지 / 전적]

부엌이라는 말인 듯하다.

주한(酒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60 페이지 / 전적]

「酒限」― 晉 陶侃은 鄱陽人이요 字는 士行인데 일찍이 孤貧하여 縣吏가 되었다가, 後에 孝廉으로 천거되어 長史가 되었으며 明帝때에 先後로 張昌, 陳敏, 杜弢, 蘇峻의 亂을 平定하여 官은 侍中太尉에 이르고 長沙郡公의 封을 받고 八州都督을 거쳐 大將軍에 제수되었다 . 晋서 陶侃傳에 「時武昌 號爲多士 殷浩庾翼等 皆爲佐吏 侃每飮酒有定限 常歡有餘而限巳竭 浩等勸更少進 侃悽懷良久曰 「年少曾有酒失 亡親見約 故不敢踰」라 하였음.

주해역사(朱亥力士)[한흥가라 6 페이지 / 전적]

조(趙) 사람. 진(晋)이 조(趙)의 수도 한단(邯鄲)을 침공할 때 조공자(趙公子) 평원군(平原君) 승(勝)이 위공자(魏公子) 신릉군에게 구원을 간곡히 청하였다. 위왕은 진을 두려워하여 불응하므로 의분심에 불타는 신릉군은 왕의 총희와 결탁하여 침실 안에 두었던 진비인부(晋鄙印符)를 훔쳐 역사 주해를 데리고 진비(晋鄙) 진영에 가서 군병의 교대를 청한 즉, 진도가 의심하고 듣지 않으므로 주해를 시켜 진도를 추살하고 신릉군은 그 군사를 거느리고 조를 구했

주해역사(朱亥力士)[한흥가라 6 페이지 / 전적]

조(趙) 사람. 진(晋)이 조(趙)의 수도 한단(邯鄲)을 침공할 때 조공자(趙公子) 평원군(平原君) 승(勝)이 위공자(魏公子) 신릉군에게 구원을 간곡히 청하였다. 위왕은 진을 두려워하여 불응하므로 의분심에 불타는 신릉군은 왕의 총희와 결탁하여 침실 안에 두었던 진비인부(晋鄙印符)를 훔쳐 역사 주해를 데리고 진비(晋鄙) 진영에 가서 군병의 교대를 청한 즉, 진도가 의심하고 듣지 않으므로 주해를 시켜 진도를 추살하고 신릉군은 그 군사를 거느리고 조를 구했

주해역사(朱亥力士)[한흥가라 6 페이지 / 전적]

조(趙) 사람. 진(晋)이 조(趙)의 수도 한단(邯鄲)을 침공할 때 조공자(趙公子) 평원군(平原君) 승(勝)이 위공자(魏公子) 신릉군에게 구원을 간곡히 청하였다. 위왕은 진을 두려워하여 불응하므로 의분심에 불타는 신릉군은 왕의 총희와 결탁하여 침실 안에 두었던 진비인부(晋鄙印符)를 훔쳐 역사 주해를 데리고 진비(晋鄙) 진영에 가서 군병의 교대를 청한 즉, 진도가 의심하고 듣지 않으므로 주해를 시켜 진도를 추살하고 신릉군은 그 군사를 거느리고 조를 구했

주해역사(朱亥力士)[한양가라 4 페이지 / 전적]

조(趙)나라 때 힘이 세기로 유명했던 사람. 주47) 참조.

주현(州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8 페이지 / 전적]

「提封」―諸侯의 封地인데 四方의 封地以內를 들어 헤아림을 이름. 漢書東方朔傳에「提封萬井」이 있음.

주호(遒豪)하리 님시리[복션화음록 14 페이지 / 전적]

굳건한 사람은 내 님이시리.

주호(酒豪)[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술을 잘 마시는 사람.

주호(酒豪)[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술을 잘 마시는 사람.

주홍사(朱紅絲)[자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주홍색 실.

주홍자(朱紅字)[한양가라 47 페이지 / 전적]

주황색으로 칠한 글자.

주회(周回)[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7 페이지 / 전적]

둘레.

주회십리(周回十里) 역수맥(逆水脉)에[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8 페이지 / 전적]

십리나 되게 조화부린 산맥이 역수맥(逆水脈.물을 거슬러 올라간 산맥)인 것.

주회암(朱晦庵)[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남송(南宋) 시대 때 유학자인 주희(朱熹)를 가리킨다.

주회암(朱晦庵)[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남송(南宋) 시대 때 유학자인 주희(朱熹)를 가리킨다.

주효(酒肴)[명륜가(明倫歌) 88 페이지 / 전적]

술과 안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