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죽창(竹窓)[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2 페이지 / 전적]

대살을 얽어 만든 창.

죽창(竹窓)[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대로 창살을 만든 창문.

죽창(竹窓)[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대로 창살을 만든 창문.

죽창(竹窓)[차운 4 페이지 / 전적]

참대살로 엮어 만든 창문.

죽창(죽창)[말이타국원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대로 창살을 만든 창문.

죽창반개(竹窓半開)[추풍감곡(秋風感曲) 3 페이지 / 전적]

대나무창을 반쯤 열다.

죽통의 밥 생각하니 마음 상하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64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에 초(楚) 나라의 충신 굴원(屈原)이 5월 5일에 멱라수(汨羅水)에 빠져 죽었으므로 초 나라 사람들이 슬퍼해서 해마다 이날이 오면 죽통(竹筒)에 쌀을 넣어 물에 던지며 제사지냈다 한다.《續齊諧記》

준골(俊骨)[운청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준수하게 생긴 골격.

준골(駿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7 페이지 / 전적]

「駿骨」- 賢才를 비유한 것인데 戰國時代 燕人 郭隗의 말에 근본되었음. 羅隱詩에「浮世近來輕駿骨 高臺何處有黃金」이 있음詳細는 위에 보임.

준공(俊空)[회혼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높은 하늘.

준극(峻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7 페이지 / 전적]

中庸 二十七章에 「大哉聖人之道 洋洋乎發育萬物峻極于天」이라 하였음.

준동 함령(蠢動含靈)[권왕가 25 페이지 / 전적]

날뛰고 움직이는 함령. 함령(含靈) : 유정(有情 : 마음이 있는 중생). 영혼을 지니고 있는 것.

준마(駿馬)[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빠르게 잘 달리는 말.

준마(駿馬)[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빠르게 잘 달리는 말.

준마(駿馬)[허후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빠르게 잘 달리는 말.

준물(俊物)[옥단춘전이라 51 페이지 / 전적]

훌륭하고 뛰어난 것. 또는 그런 사람.

준민고택(浚民膏澤)[명륜가(明倫歌) 47 페이지 / 전적]

재물을 마구 착취하여 백성을 괴롭힘.

준민고택(浚民膏澤)[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8 페이지 / 전적]

재물을 마구 착취하여 백성을 괴롭힘.

준민고택(浚民膏澤)[심심가(尋心歌) 3 페이지 / 전적]

재물을 마구 착취하여 백성을 괴롭힘.

준민고택(浚民膏澤)[심심가(尋心歌) 3 페이지 / 전적]

재물을 마구 착취하여 백성을 괴롭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