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죽력고(竹瀝膏)[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6 페이지 / 전적]

죽력을 섞어서 만든 소주.

죽령(竹嶺)[가사소리 5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과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사이에 있는 고개.

죽록정(竹綠亭)[ 1 페이지 / ]

전남 담양군 고서면에 위친한 송강정의 딴이름.

죽리독좌탄금(竹裏獨坐彈琴)[낙지가 10 페이지 / 전적]

대 밭에 홀로 앉아 거문고를 타다.

죽림(竹林)[관동별곡 3 페이지 / 전적]

대나무의 고장 담양 창평.

죽림(竹林)[석천집(石川集二-五)2-5 163 페이지 / 전적]

대숲, 속세를 떠나 은거하는 곳.

죽림(竹林)[한양가라 81 페이지 / 전적]

대나무 숲.

죽림竹林[ 1 페이지 / ]

대밭. 대숲. 청한淸閑을 즐기며 사는 죽림고회의 생활을 연상시키는 표현임.

죽림칠현[석천집(石川集二-四)2-4 63 페이지 / 전적]

中國 晉代 老莊思想을 信奉하여 竹林에 隱居하면서 淸談을 일삼던 칠인.阮籍,嵇康,産濤,劉伶,向秀,阮咸,王融 등을 일컬음.

죽림칠현(竹林七賢)[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晋)나라 초기에 노장(老莊)의 무위사상(無爲思想)을 숭상 하며 죽림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산도(山濤)․왕융(王戎)·유영(劉伶)·완적(阮籍)·완함(阮咸)·혜강(嵆康)·향수(向秀).

죽림칠현(竹林七賢)[녁대가(녁가) 52 페이지 / 전적]

중국 위(魏)·진(晉)의 정권교체기에 부패한 정치권력에는 등을 돌리고 죽림에 모여 거문고와 술을 즐기며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곧 산도(山濤), 왕융(王戎), 유영(劉伶), 완적(阮籍), 완함(阮咸), 혜강(嵆康), 상수(向秀)를 가리킴.

죽마고우(竹馬故友)[경노의심곡 15 페이지 / 두루마리]

대나무로 만든 말을 타고 놀던 벗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친한 벗을 이르는 말.

죽반간粥飯間)[ 1 페이지 / ]

죽식간(粥食間). 죽이든지 밥이든지 무엇이나.

죽반간粥飯間)[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8 페이지 / 전적]

죽식간(粥食間). 죽이든지 밥이든지 무엇이나.

죽반간에 봉양하되[창덕가2 36 페이지 / 전적]

죽이나 밥으로 부모님을 봉양함.넉넉하지 못해 기름진 음식을 드리지 못함을 말함.

죽반간에 봉양하되[창덕가2 37 페이지 / 전적]

죽이나 밥으로 부모님을 봉양함.넉넉하지 못해 기름진 음식을 드리지 못함을 말함.

죽백(竹帛)[석천집(石川集二-五)2-5 112 페이지 / 전적]

옛날 종이가 없을 때는 죽백에 글씨를 썼음. 죽은 죽간(竹簡), 백은 비단을 뜻함. 좀처럼 무너지지 않는 남산과 같이 오래 지행할 죽백을 염두한 표현으로 볼 수 있음.

죽백(竹帛)[츅친서라 2 페이지 / 전적]

서적(書籍)의 다른 말로 특히, 역사를 기록한 책을 이른다.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대쪽이나 헝겊에 글을 써서 기록한 데서 생긴 말이다.

죽백(竹帛)[명륜가(明倫歌) 49 페이지 / 전적]

문서나 서적 및 역사책. 예전에 문자를 기록하는 데에 대나무와 나무로 만든 죽간과 목간을 사용하였는데, 진(秦)나라 때에 백(帛)으로 대신함.

죽백(竹帛)[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서적(書籍)을 뜻하며, 역사를 기록한 책을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