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죽백(竹帛)[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1 페이지 / 전적]
서적(書籍)의 다른 말로 역사를 기록한 책을 이르는 말. 이는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대쪽이나 헝겊에 글을 써서 기록한 데서 생긴 말임.
죽백(竹帛)[조심가라 27 페이지 / 전적]
역사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대쪽이나 명주에 글을 적던 데서 생긴 말.
죽백(竹帛)[조심가라 27 페이지 / 전적]
역사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대쪽이나 명주에 글을 적던 데서 생긴 말.
죽백(竹帛)[한흥가라 106 페이지 / 전적]
죽소(竹素). 서적(書籍) 특히, 역사를 기록한 책을 이르는 말.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대쪽이나 헝겊에 글을 써서 기록한 데서 생긴 말이다.
죽백(竹帛)[별한가 22 페이지 / 전적]
이름이 죽간(竹簡)과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이름이 역사에 길이 빛남을 이르는 말.
죽백(竹帛)에 올리고[초씨션원쳥음가 6 페이지 / 전적]
이름이 죽간(竹簡)과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이름이 역사에 길이 빛남을 이르는 말.
죽비자(竹篦子)[자책가(가) 19 페이지 / 전적]
죽비자(竹篦). 중이 손바닥 위를 쳐서 불사(佛事)의 시종과 대중의 좌립(坐立) 을 알리는데 쓰는 대로 만든 물건.
죽사마(竹駟馬)[한양가라 45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왕비의 장례에 쓰던 제구(祭具). 아주 두꺼운 널로 ‘井’ 자 모양으로 틀을 만들어 박은 다음 굵은 대로 말의 몸통을 만들고 종이를 발라 잿빛 칠을 하고, 말총으로 갈기와 꼬리를 만들며 눈알은 움직이게 만들어 틀 위에 세우고 두 바퀴가 달린 수레 위에 실어 여사군이 끌게 하였다.
죽산마(竹散馬)[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왕비의 장례에 쓰던 제구(祭具).
죽산마(竹散馬)[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왕비의 장례에 쓰던 제구(祭具).
죽산마(竹散馬)[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왕비의 장례에 쓰던 제구(祭具).
죽서루(竹栖樓)[석천집(石川集二-三)2-3 52 페이지 / 전적]
죽서루(竹西樓), 또는 죽서루(竹書樓)로도 쓴다. 강원도 삼척에 있는 누각으로 관동팔경의 하나.
죽서루(竹西樓)[관동별곡 14 페이지 / 전적]
진주관 서쪽에 위치한 누각으로서, 관동팔경의 하나.
죽서루(竹西樓)[춘몽가(츈몽가) 18 페이지 / 전적]
강원도 강릉시 저동(苧洞)의 경포호 북안에 있는 누각.
죽서루(竹西樓)[춘몽가(츈몽가) 18 페이지 / 전적]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각으로, 정면 7칸, 측면 2칸, 팔작지붕.예로부터 관동팔경의 하나로 꼽힘.삼척시의 서편을 흐르는 오십천(五十川)이 내려다보이는 절벽에 자리잡고 있음.
죽수서원(竹樹書院)[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71 페이지 / 전적]
전라도 능주(綾州), 지금의 화순(和順)에 있던 서원으로,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선생을 모셨다. 죽수는 능주의 고호(故號)이다.
죽순(竹筍)[츅친서라 9 페이지 / 전적]
대의 땅속줄기에서 돋아나는 어린 싹.
죽순(竹筍)[여자행신가 11 페이지 / 전적]
대의 땅속줄기에서 돋아나는 어린 싹. 식용함.
죽순(竹筍)[여자행신가 11 페이지 / 전적]
대의 땅속줄기에서 돋아나는 어린 싹. 식용함.
죽식간(粥食間)[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0 페이지 / 전적]
죽이든지 밥이든지 무엇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