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제해(齊該)[석천집(石川集二-三)2-3 58 페이지 / 전적]

책 이름.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제해(齊諧)라는 책에는 괴이한 일들이 기록되어 있다고 했다.

제행요지(霽行潦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8 페이지 / 전적]

天理에 逆行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함.

제향(帝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 페이지 / 전적]

「帝鄕」- 天帝의 都를 이름。莊子에 『乘彼白雲 至天帝鄕』이라하였음。

제향(帝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4 페이지 / 전적]

「帝鄕」― 天帝의 都로 즉 天上을 말한 것임. 莊子天地篇에 「乘彼白雲 至于帝鄕」이라 했음.

제향(祭享)[팔도안희가 4 페이지 / 전적]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 또는 제사를 높이 부르는 말이다.

제향(祭香)[한흥가라 25 페이지 / 전적]

제사(祭祀)에 쓰는 향.

제향(祭香)[한흥가라 25 페이지 / 전적]

제사(祭祀)에 쓰는 향.

제향(祭香)[한흥가라 25 페이지 / 전적]

제사(祭祀)에 쓰는 향.

제현배출(諸賢)輩出)[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어진 인재가 계속해서 나옴.

제현배출(諸賢)輩出)[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어진 인재가 계속해서 나옴.

제혈(啼血)[화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피를 토하며 욺.

제혈(啼血)하는 두견조(杜鵑鳥)는[붕우들아춘회굑 2 페이지 / 두루마리]

피를 토하며 우는 두견새는.

제혈(諸血)[구쟉가 7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 동물의 피.

제형숙절(弟兄叔姪)[로인가 11 페이지 / 전적]

형과 아우, 아저씨와 조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제호탕(醍醐湯)[김씨효행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오매(烏梅), 사인(沙仁), 백단향, 초과(草果)를 가루로 만들어 꿀에 재어 끓였다가 냉수에 타서 마시는 청량제.

제후(諸侯)[통륜가(通倫歌) 3 페이지 / 전적]

봉건 시대에 일정한 영토를 가지고 그 영내의 인민을 지배하는 권력을 가진 사람.

제후귀지(諸候歸之)[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6 페이지 / 전적]

제후가 돌아오다.

제후왕비[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4 페이지 / 전적]

원문에는 ‘侯’가 ‘候’로 되어 있음.

제휴(提携)[경장가(敬長歌) 5 페이지 / 전적]

행동을 함께하기 위하여 손을 잡아 이끌어 도와줌.

제음식 읠대의[효봉구고치산가 23 페이지 / 전적]

제사 음식 차릴 때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