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제불 만덕(諸佛萬德)[권왕가 53 페이지 / 전적]

여러 부처의 많은 덕행(德行).

제불 보살(諸佛菩薩)[권왕가 24 페이지 / 전적]

여러 부처와 보살. 보살(菩薩) : ①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부처의 버금이 되는 성인. ② 고승(高僧)의 존칭. ③ 보살승(菩薩乘)의 준말. 출세(出世) : 앞에 든 각주 145 참조.

제불 화신(諸佛化身)[권왕가 55 페이지 / 전적]

여러 부처의 화신(化身). 화신(化身) :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형상을 바꾸어 이 세상에 나타나는 부처의 몸.

제불심(諸佛心)[권왕가 15 페이지 / 전적]

자비로운 여러 부처의 마음. 불심(佛心) : 자비스러운 부처의 마음. 깊이 깨달아 속세의 번뇌에 흐려지지 않는 마음.

제불화상(諸佛和尙)[나웅하상토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부처를 말하며, 화상(和尙)은 수행을 많이 한 승려 또는 ‘승려’를 높여 부르는 말이다.

제비(諸卑)[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6 페이지 / 전적]

여러 노비.

제사 부위처강가(第四 夫爲妻綱歌)[삼강오륜가 서 5 페이지 / 전적]

넷째 부위처강(夫爲妻綱)에 대한 노래.

제사 부적(祭祀不適)[청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사람에 대한 제사가 적당하지 못한 것.

제사(題辭)[민탄가(民歎歌) 5 페이지 / 전적]

백성의 소장이나 원서에 쓰던 관부의 판결이나 지령.

제사(題辭)[아림가(娥林歌) 34 페이지 / 전적]

관부에서 백성이 제출한 소장(訴狀)이나 원서(願書)에 쓰던 관부의 판결이나 지령.

제사차리면셔 주졈버리[복션화음록 21 페이지 / 전적]

제사차리면서 주전부리. 제사음식 장만하며 주전부리.

제산(諸山)[셔왕가 3 페이지 / 전적]

많은 산. 불교에서는 ‘많은 절’을 뜻함.

제살(制煞)[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8 페이지 / 전적]

살풀이를 하여 미리 재액을 막음.

제삼(第三) 군위신강가(君爲臣綱歌)[삼강오륜가 서 4 페이지 / 전적]

셋째 군위신강(君爲臣綱)에 대한 노래. 이 가사 원문에서의 “君爲臣歌”는 “君爲臣綱歌”의 잘못 표기로 판단된다

제석(帝釋)[백발가(白髮歌) 9 페이지 / 전적]

무당이 모시는 신의 하나로 집안사람들의 수명, 곡물, 의류 및 화복에 관한 일을 맡아본다고 함.

제석(帝釋)[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제석신. 무당이 섬기는 신의 하나. 집안사람들의 수명, 곡식, 의류 및 화복에 관한 일을 맡아 본다는 가신제(家神祭)의 대상.

제석(帝釋)님[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 페이지 / 전적]

제석신(帝釋神).

제석(帝釋)님[서가여래가사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제석천(帝釋天)의 준말. 범천(梵天)과 더불어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신.

제석(帝釋)님[서가여래가사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제석천(帝釋天)의 준말. 범천(梵天)과 더불어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신.

제석일(除夕日)[사친가1(思親歌(一)) 11 페이지 / 전적]

섣달 그믐날.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