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제미(祭米)[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제사에 사용할 쌀.

제미(祭米)[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제사에 사용할 쌀.

제반미(祭飯米)[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9 페이지 / 전적]

젯메쌀. 제사 때 올리는 밥으로서 젯메를 지을 쌀.

제반범백(諸般凡百)[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보통의 법도(法道)에 어긋나지 않는 언행(言行).

제방(除防)[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21 페이지 / 전적]

임지에서 복무하는 대신 쌀을 바치는 것, 제부방(除赴防)의 준말.

제방첨시(諸方瞻視)[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방향에서 이리저리 둘러봄.

제방첨시(諸方瞻視)[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방향에서 이리저리 둘러봄.

제번포(除番布)[거창가 17 페이지 / 전적]

번상(番上)의 의무를 면해주는 대가로 금위영(禁衛營)과 어영청(御營廳)에 치르 던 포목.

제번포(除番布)[거창가 17 페이지 / 전적]

번상(番上)의 의무를 면해주는 대가로 금위영(禁衛營)과 어영청(御營廳)에 치르 던 포목.

제번포(除番布)[거창가라 21 페이지 / 전적]

번상(番上)의 의무를 면해 주는 대가로 금위영(禁衛營)과 어영청(御營廳)에 치르던 포목.

제번포(除番布)[아림가(娥林歌) 22 페이지 / 전적]

번상(番上)의 의무를 면해 주는 대가로 금위영(禁衛營)과 어영청(御營廳)에 치르던 포목.

제복(祭服)[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2 페이지 / 전적]

제사 지낼 때 입는 예복.

제복(祭服)[곽씨세덕가문니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제향 때 입는 옷.

제복잇셔 쓰난거말[복션화음록 23 페이지 / 전적]

자기 복이 있어 쓰는 것이라면.

제복잇셔 씌난거슨[효봉구고치산가 21 페이지 / 전적]

자기 복 있어 쓰는 것은.

제본(題本)[송강집(松江集二)2 149 페이지 / 전적]

공문(公文).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11 페이지 / 전적]

1533년(중종28)-1592(선조26). 광주출신으로 1558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호조좌랑에 임명된 후 울산군수, 영암군수, 동래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 6000 여명을 모집하여 금산(錦山)싸움에서 전사하였다. 광주 포충사(褒忠祠)에 제향되었다.

제봉(題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1 페이지 / 전적]

「題鳳」-위에 나타나 있음

제부(帝府)[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12 페이지 / 전적]

염라대왕(閻羅大王)이 죽은 이들을 맞이 하는 곳.

제부묘(祭父廟)[효행가(孝行歌) 5 페이지 / 전적]

부묘(父廟)에 제사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