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제교(齊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2 페이지 / 전적]

「齊郊牛羊」―孟子 告子篇에「牛山之木 嘗美矣 以其郊於大國也斧斤伐之……牛羊又從而牧之」라는 대문이 있음. 牛山은 齊의 東南에 있는 山名임.

제구 감겁(第九減劫)[권왕가 50 페이지 / 전적]

아홉 번째의 감겁. 감겁(減劫) : 앞에 든 각주 574 참조.

제구(第九) 붕우유신(朋友有信歌)[삼강오륜가 서 11 페이지 / 전적]

아홉째 붕우유신에 대한 노래

제구(諸具)[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9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 도구,

제구(齊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0 페이지 / 전적]

樂府歌曲의 이름. 文選 陸機齊謳行에 「行行將復去 長存非所營」이란 句가 있음.

제국주의(帝國主義)[추월감 4 페이지 / 두루마리]

우월한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다른 나라나 민족을 정벌하여 대국가를 건설하려는 침략주의적 경향.

제군(諸君)[자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명의 아랫사람을 문어적으로 조금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제규(齊珪)[석천집(石川集二-三)2-3 9 페이지 / 전적]

원(元)나라 포대인(蒲臺人). 전쟁에 이긴 공으로 무체현윤(無棣縣尹)을 제수받았고 조양진(棗陽鎭)에 승진되었다. 그는 또 그후에도 성을 잘 지켜 송(宋)나라 군사가 이르렀을 때, 병력을 잘 이끌어 물리치고 금부(金符)를 하사받고 천호(千戶)를 받았다.

제금(製錦)[석천집(石川集二-一)2-1 113 페이지 / 전적]

左傳에 鄭子産이 子皮에게 했던말로 가위를 잡은 줄도 모르는 사람에게 비단을 맡겨 裁縫하라하면 어떻겠느냐는 말을 인용한 것이니 治邑을 말함

제기(祭器)[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2 페이지 / 전적]

제사에 쓰는 그릇.

제기여 요말고[복션화음록 18 페이지 / 전적]

제기(祭器)내여 행여 말고. 제기를 함부로 쓰지 말고.

제남(悌男)[한흥가라 61 페이지 / 전적]

김제남(金悌男). 인목왕후(仁穆王后)의 부친.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으로 추증됨.

제남(悌男)[한흥가라 61 페이지 / 전적]

김제남(金悌男). 인목왕후(仁穆王后)의 부친.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으로 추증됨.

제남(悌男)[한흥가라 61 페이지 / 전적]

김제남(金悌男). 인목왕후(仁穆王后)의 부친.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으로 추증됨.

제남(濟南)[축산별곡 4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지명이나 여기에서는 축산을 말한는 듯함.

제닐미[용문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제일미(第一味)라.

제닐체닐[효봉구고치산가 14 페이지 / 전적]

제일체(第一體)는. 제일 먼저 체득할 것은.

제대보살(諸大菩薩)[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모든 큰 보살들.

제대보살(諸大菩薩)[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모든 큰 보살들.

제대성현(諸大聖賢)[자책가(가) 23 페이지 / 전적]

모든 큰 성인과 현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