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제류(儕流)[사향가라 10 페이지 / 전적]
동배(同輩). 나이나 신분이 서로 같거나 비슷한 사람.
제류(儕流)[당산조션가 3 페이지 / 전적]
동배(同輩)-나이나 신분이 서로 같거나 비슷한 사람.
제류(儕流)[선유가라 3 페이지 / 전적]
동류(同類), 동배(同輩)와 같은 말.
제류들[화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친구들아
제릉(齊陵)[한양가라 17 페이지 / 전적]
조선 태조의 정비(正妃)인 신의왕후한씨(神懿王后韓氏)의 무덤. 경기도 개성에 있다.
제리(諸吏)[심심가(尋心歌) 7 페이지 / 전적]
모든 아전.
제리(諸吏)[심심가(尋心歌) 7 페이지 / 전적]
모든 아전.
제리(諸吏)[거창가라 19 페이지 / 전적]
모든 아전.
제리(諸吏)[아림가(娥林歌) 19 페이지 / 전적]
모든 아전.
제면암최선생 익현(祭勉庵崔先生益鉉)[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2 페이지 / 전적]
면암 최익현 선생께 올리는 제문(祭文).
제면을[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제면(祭麵). 제사를 지낼 때 쓰는 음식.
제몸을 져니드라[효봉구고치산가 17 페이지 / 전적]
제 몸을 견디느라.
제문(祭文)[회경가 17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에 대하여 애도의 뜻을 나타낸 글
제문(祭文)[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3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에 대하여 애도의 뜻을 나타낸 글. 흔히 제물을 올리고 축문처럼 읽는다.
제문(齊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6 페이지 / 전적]
「齊門瑟竽」―韓愈의 荅陳商書에「齊王이 竽를 좋아하니 齊에 벼슬을 구하는 자가 있어 瑟을 가지고 가서 왕의 門에 서서 기달기를 삼년이 었으나 들어가지 못했다」라 하였음.
제물[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재물(財物)의 잘못된 표기.
제물(祭物)[녁대가(녁가) 22 페이지 / 전적]
제사에 쓰는 음식물.
제물대구(祭物大口)[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제물로 쓸 대구어.
제물포(濟物浦)[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3 페이지 / 전적]
인천의 옛 지명.
제미(濟美)[활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아름다운 일을 이룬다는 뜻으로 조상의 유업을 이어 이를 성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