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정한순(鄭翰淳)[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1 페이지 / 전적]
조선 철종 때 일어난 함평민란의 주동자이다. 현감이 자신의 빚을 갚기 위해 조세를 부당하게 징수하자, 이에 항의하여 폭동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정해(丁亥)[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1947년.
정해(丁亥)[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1947년.
정해년(丁亥年)[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1467년.
정해현[팔역가(八域歌) 37 페이지 / 전적]
절강성 태주의 영파
정협(鄭恊, 명종 16, 1561~광해군 3, 1611)[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44 페이지 / 전적]
자는 화백(和伯), 호는 한천(寒泉) 우의정 언신(彦信)의 아들. 선조21년(1588)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검열 정자 장령 사간 이조참판 대사헌 등을 지냈다. 1589년 아버지가 기축옥사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죽은 뒤에 미관말직을 전전하다가 1599년 아버지가 신원된 뒤에 검상(檢祥)에 기용되면서 다시 관직생활을 시작했다.
정호(鼎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39 페이지 / 전적]
「鼎湖」- 黃帝의 古事로 荊山의 鼎湖에서 鑄鼎한 것을 이름.弓劒의 註에 상세
정호서(丁好恕)[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2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압해(押海). 자는 사추(士推). 정옥형(丁玉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응두(丁應斗)이고, 생부는 정윤복(丁胤福)이며, 생모는 한경상(韓景祥)의 딸이다. 정윤지(丁胤祉)에게 입양되었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별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선조실록》을 편찬할 때에 중훈대부(中訓大夫) 행병조좌랑지제교(行兵曹佐郞知製敎)라는 직함을 가지고 기사관(記事官)으로 활동하였다. 1609년(광해군 1)에 병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
정혼(定婚)[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혼인을 정함.
정화(政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7 페이지 / 전적]
「旬宣」-地方長官이 管轄하는 지역을 王이 순회하여 王命을 宣布함을 이름. 詩經大雅 江漢에「王命召虎 乃旬乃宣」이라는 句가 있음. 그래서 우리나라는 監司를 旬宣이라함.
정화(淨火)[시골여자서련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신성한 불.
정회(情懷)[남천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하는 마음. 또는 정과 회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회(情懷)[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하는 마음.
정회(情懷)[견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하는 마음.
정회(情懷)[남천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하는 마음. 또는 정과 회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회(情懷)[견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하는 마음.
정회(情懷)[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하는 마음.
정회(情懷)[반심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가슴에 사무쳐 오는 정과 회포(懷抱). 또는 그런 애틋한 감정을 자아내게 하는 정서.
정회(情懷)[환무자탄가 36 페이지 / 전적]
가슴에 사무쳐 오는 정과 회포(懷抱). 또는 그런 애틋한 감정을 자아내게 하는 정서.
정회(情懷)[고분가 12 페이지 / 전적]
생각하는 마음, 또는 정과 회포를 아울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