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제일 전에[착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전(殿)은 임금, 신, 성현, 부처님과 같이 가장 큰 분이 계시거나 사는 집. 예를 들면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신 곳은 대웅전이고, 관음보살을 모신 곳은 관음전, 공자님을 모신 곳은 대성전, 임금이 계신 곳은 궁전이다. 임금을 전하(殿下)라고 한 것은 ‘전 밑에 계신 분’이라는 의미다

제일(第一) 삼강오륜가(三綱五倫歌)[삼강오륜가 서 2 페이지 / 전적]

한 편의 [삼강오륜가(三綱五倫歌)]는 그 내용이 삼강오륜에 대한 노래로서 가사 열 편의 합성으로 구성되었는데, 그중 첫째 노래라는 뜻이다.

제일미(第一味)[자치가라 20 페이지 / 두루마리]

첫째가는 좋은 맛.

제일미(第一味)[소상팔경가 20 페이지 / 전적]

첫째가는 좋은 맛.

제일미(第一味)[자치가 21 페이지 / 전적]

첫째가는 좋은 맛.

제일인간(第一人間) 기절처(奇絶處)[금강산유람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인간 세상에서 볼 수 있는 제일 신기하고 기이한 곳, 경치.

제일전[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4 페이지 / 전적]

지옥의 시왕(十王)이 거주하는 궁전으로 제일전(第一殿)부터 제십전(第十殿)까지 있음.

제일지(第一地)[그리져리구경하고 6 페이지 / 전적]

가장 좋은 땅.

제자(諸子)[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2 페이지 / 전적]

여러 자식.

제자(諸子)[동국조선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 또는 아들과 같은 항렬의 사람.

제자帝子[ 1 페이지 / ]

임금의 딸. 여기서는 요임금의 딸이자 순임금의 부인인 아황과 여영을 이름.

제작주거(制作舟車)[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배와 수레를 만듦.

제작주거(制作舟車)[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배와 수레를 만듦.

제잠(蹄涔)[황남별곡(黃南別曲) 12 페이지 / 전적]

소나 말의 발자국 속에 괸 물이란 뜻으로, 미소(微少)한 것을 비유(比喩ㆍ譬喩)하여 이르는 말

제잠(鯷岑)에서 신〔履〕을 받았사오나[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1 페이지 / 전적]

제(鯷)는 사람과 흡사한 물고기로 제잠은 제인(鯷人)이 살고 있다는 해외의 먼 지방을 뜻하며, 신〔履〕은 천자의 봉지(封地)를 뜻한다. 춘추 시대 제 환공(齊桓公)은 자신의 영지(領地)를 말하면서‘선왕 (先王)께서 우리 선군(先君)에게 신을 주셨는데, 동쪽으로는 바다에, 서쪽으로는 황하(黃河)에, 남쪽으로는 목릉(穆陵)에, 북쪽으로는 무체(無棣)에 이르렀다.‘하였다.《春秋左前 僖公四年》

제장(諸將)들아[초한가라 6 페이지 / 전적]

항우의 군사들을 말함.

제전[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제사 지냄

제전등절(祭奠等節)[명륜가(明倫歌) 28 페이지 / 전적]

모든 제사는 대등하게 조절하여.

제절(諸節)[칠여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듣는 이의 집안 식구들의 기거동작을 높여 이르는 말.

제제(濟濟)[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많고 왕성함. 혹은 엄숙(嚴肅)하고 신중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