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제왕가(帝王家)[남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제왕의 가정.

제왕가(帝王家)[남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제왕의 가정.

제왕전(帝王殿)[별한가 11 페이지 / 전적]

삼신전(三神殿)과 같은 말.

제왕지도(帝王之道)[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8 페이지 / 전적]

제왕의 도. 유가(儒家)에서는 인(仁)과 덕(德)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를 그 이상으로 삼음.

제왕지도(帝王之道)[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9 페이지 / 전적]

제왕의 도. 유가(儒家)에서는 인(仁)과 덕(德)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를 그 이상으로 삼음.

제왕지도(帝王之道)[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8 페이지 / 전적]

제왕의 도. 유가(儒家)에서는 인(仁)과 덕(德)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를 그 이상으로 삼음.

제왕지도(帝王之道)[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9 페이지 / 전적]

제왕의 도. 유가(儒家)에서는 인(仁)과 덕(德)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를 그 이상으로 삼음.

제왕지위(帝王之位) 거(居)하시지[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3 페이지 / 전적]

제왕의 지위에 있지.

제왕지위(帝王之位) 거(居)하시지[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3 페이지 / 전적]

제왕의 지위에 있지.

제왕출지(帝王出地)[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8 페이지 / 전적]

제왕이 나올 땅.

제요(帝堯)[초씨션원쳥음가 5 페이지 / 전적]

선정(善政)을 베푼 요(堯) 임금. 당요(唐堯). 도당씨(陶唐氏). 곧 요(堯)는 당제(唐帝)의 이름으로 제곡(帝嚳)의 아들이라고 함.

제요(帝堯)[녁대가(녁가) 11 페이지 / 전적]

요(堯)임금. 중국 고대의 오제(五帝) 중 한 사람. 제곡 고신의 아들로 당요(唐堯) 또는 제요도당(帝堯陶唐)으로도 부름. 아들인 단주(丹朱)가 어리석으므로, 순(舜)에게 왕위를 양위함. 순(舜)과 함께 성군(聖君)의 대명사로 일컬어짐.

제요씨(帝堯氏)[신정도덕가 2 페이지 / 전적]

요(堯)는 명군으로 알려진 중국의 신화 속 군주의 이름으로,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신화 가운데 오제의 하나이다.

제요씨(帝堯氏)[신정 도덕가(新訂 道德歌) 3 페이지 / 전적]

고대 제왕의 이름, 성군(聖君)인 당요(唐堯).

제요씨(帝堯氏)[황남별곡(黃南別曲) 5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성군(聖君)인 요(堯)임금을 말함.황제(黃帝)의 후예인 도당씨(陶唐氏)부락 추장이었으며, 그로 인해 후세에 그를 당요(唐堯)라고 부름.

제우[두껍전이라(겁젼이라) 15 페이지 / 전적]

겨우.

제우[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5 페이지 / 전적]

겨우.

제우(際遇)[명륜가(明倫歌) 50 페이지 / 전적]

임금과 신하 사이에 뜻이 잘 맞음.

제우(齊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9 페이지 / 전적]

「齊竽」- 時俗에 맞지 않은 공부를 말함. 韓愈答陳商書에「齊王好竽 有求仕於齊者 操瑟而往 立王之門三年 不得入 叱曰吾瑟

제월(霽月)[원유가(遠遊歌) 7 페이지 / 전적]

비가 갠 하늘의 밝은 달 또는 꽁하게 맺힌 데가 없는 산뜻한 심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