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제세인물(濟世人物)[옥셜화답 8 페이지 / 전적]

세상을 구제할 인물.

제세지심(濟世之心)[명륜가(明倫歌) 10 페이지 / 전적]

세상을 구제하려는 마음.

제세창생(濟世蒼生)[몽즁운동가 3 페이지 / 전적]

이 세상의 모든 백성을 구제함.

제세창생(濟世蒼生)[몽즁운동가 6 페이지 / 전적]

이 세상의 모든 백성을 구제함.

제세창생(濟世蒼生)[안심경찰가 8 페이지 / 전적]

이 세상의 모든 백성을 구제함.

제송(啼送)[구쟉가 13 페이지 / 전적]

울면서 보냄.

제수(祭需)[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제사에 올리는 제물. 칠년대한(七年大旱)이 계속될 때 탕왕은 몸소 희생(犧牲)이 되어 상림(桑林)의 들에서 기우제(祈雨祭)를 올려 큰 비를 내리게 했음.

제수(祭需)[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제사에 올리는 제물. 칠년대한(七年大旱)이 계속될 때 탕왕은 몸소 희생(犧牲)이 되어 상림(桑林)의 들에서 기우제(祈雨祭)를 올려 큰 비를 내리게 했음.

제수(除授)[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1 페이지 / 전적]

천거에 의하지 않고 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던 일.

제수(除授)[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추천의 절차를 밟지 않고 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던 일.

제수(除授)[자치가 13 페이지 / 전적]

천거에 의하지 않고 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던 일.

제수(除授)[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2 페이지 / 전적]

천거에 의하지 않고 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던 일, 또는 옛 관직을 없애고 새 관직을 내리던 일을 이른다.

제수(除水)의 병든 고기[사친가2(思親歌(二)) 14 페이지 / 전적]

물이 줄여져서 병이 든 고기. 제수(除水) : 물을 배제하는 것.

제수씨(弟嫂氏)[환무자탄가 10 페이지 / 전적]

남자 형제 사이에서 동생의 아내를 대접하여 부르는 말.

제순(帝舜)[셔유곡 14 페이지 / 전적]

순(舜) 임금. 우순(虞舜). 고수(瞽叟)의 아들. 요(堯) 임금의 선위(禪位)로 제위(帝位)에 올라 선정(善政)을 베풀었음.

제순(帝舜)[춘몽가(츈몽가) 30 페이지 / 전적]

서쪽의 도읍.특히 중국에서, 서주(西周)의 도읍 호경(鎬京)과 한나라의 도읍 장안(長安)을 이르는 말.

제순(帝舜)[녁대가(녁가) 12 페이지 / 전적]

요임금의 뒤를 이은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천자 ‘순(舜)’을 가리킴. 오제(五帝) 중 한 명. ‘유우씨(有虞氏)’, ‘우순(虞舜)’로도 불림. ‘요(堯)’와 함께 성군(聖君)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요순(堯舜)’이란 표현은 태평시대를 의미함.

제순(帝舜)[춘몽가(츈몽가) 30 페이지 / 전적]

순(舜) 임금.우순(虞舜).고수(瞽叟)의 아들.요(堯) 임금의 선위(禪位)로 제위(帝位)에 올라 선정(善政)을 베풀었음.우(虞)란 순 임금이 천하를 차지하여 다스릴 때의 나라 이름임.우(禹)에게 양위함.

제순씨(帝舜氏)[황남별곡(黃南別曲) 5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성군(聖君).요 임금의 신하로 있다가 왕위를 물려 받음.

제술(製述)[옥셜화답 8 페이지 / 전적]

시나 글을 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