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제술(製述)[옥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시나 글을 지음.
제승루[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누각 이름, 위치 미상
제시인간 별유천(除是人間 別有天)[황남별곡(黃南別曲) 10 페이지 / 전적]
주희(朱熹)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의 한 구절.여기가 바로 인세의 별천지인 것을.
제시조(祭始祖)[효행가(孝行歌) 5 페이지 / 전적]
시조에 제사함.
제시첩[팔역가(八域歌) 28 페이지 / 전적]
시를 적은 종이 묶음
제식(制式)[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정해놓은 일정한 법식.
제신(諸臣)[한양가라 24 페이지 / 전적]
여러 신하들.
제신(諸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여러 신하.
제신(齊身)[추월감 4 페이지 / 두루마리]
몸을 잘 다스림.
제신명[복션화음록 18 페이지 / 전적]
자기 신명(身命). 자기 자신의 운명.
제신명의 헤로오니[효봉구고치산가 17 페이지 / 전적]
제 신명(身命)의 해로우니. 자기의 몸에 해로우니.
제심기[효봉구고치산가 23 페이지 / 전적]
제 심지. 자기의 마음.
제십(第十) ∝삼강오륜가(∝三綱五倫歌)[삼강오륜가 서 13 페이지 / 전적]
이 가사가 필사된 원문에서 ∝의 부분은 그 글씨가 모호하여 속단하기가 어려우나, 이는 ‘贊’자의 모양과 가장 근사하고, 이곳 제목이 지시하는 의미로 보아서도 이에 합당하여, ‘贊三綱五倫歌’라는 표기로 추정한다.
제십(第十) ∝삼강오륜가(∝三綱五倫歌)[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1 페이지 / 전적]
이 가사가 필사된 원문에서 ∝의 부분은 그 글씨가 모호하여 속단하기가 어려우나, 이는 ‘贊’자의 모양과 가장 근사하고, 이곳 제목이 지시하는 의미로 보아서도 이에 합당하여, ‘贊三綱五倫歌’라는 표기로 추정한다.
제양(齊梁)[양친가(養親歌) 4 페이지 / 전적]
제나라는 중국 전국시대의 7웅국(七雄國)의 하나이며, 양나라는 소연(蕭衍)이 세운 중국 남조(南朝)의 제3왕조로서 제나라는 양나라에 선양하였음
제어(制禦)[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제어(制御)’가 맞는 표기. 상대편을 억눌러서 제 마음대로 다룸.
제역조(除役條)[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58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국가차원에서 궁전(宮田), 둔전(屯田), 학전(學田), 역전(驛田) 등을 경작하는 농민들에 대해 잡역을 면제해 주거나 군현 차원에서 점촌(店村), 서원촌(書院村), 계방촌(契房村) 등으로 설정하여 잡역을 면제하는 대신 특정역을 부과하는 것.
제영(題詠)[석천집(石川集二-五)2-5 138 페이지 / 전적]
제목을 정하여 놓고 시가를 지음. 또는 그 시가를 말함.
제영題詠[ 1 페이지 / ]
제목을 붙여 시를 읊는 것, 또는 그 시
제왕(諸王)[한양가라 22 페이지 / 전적]
여러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