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제조사(除朝辭)[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5 페이지 / 전적]

지방관의 임지 부임을 재촉하기 위하여 임금께 사뢰하는 것을 생략함.

제족(諸族)[당산조션가 3 페이지 / 전적]

한 집안의 모든 겨레붙이.

제종(諸宗)[긔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 겨레붙이의 본종(本宗)과 지파(支派)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제종(諸宗)[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한 겨레붙이의 본종(本宗)과 지파(支派)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제종(諸宗)[수션의라 11 페이지 / 전적]

한 겨레붙이의 본종(本宗)과 지파(支派)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제종(諸宗)[기수가 1 페이지 / 전적]

한 겨레붙이의 본종(本宗)과 지파(支派)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제종(諸宗)[기수가 6 페이지 / 전적]

한 겨레붙이의 본종(本宗)과 지파(支派)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제종(諸宗)[자소가(소가) 4 페이지 / 전적]

한 겨레붙이 사이의 본종과 지파.

제종시매(諸宗媤妹)[답긔슈가 5 페이지 / 전적]

집안의 시누이들.

제죄(諸罪)[경노의심곡 17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죄.

제주 3읍[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21 페이지 / 전적]

제주목(濟州牧), 정의현(旌義縣), 대정현(大靜縣)을 말함.

제주(祭酒)[경게가라 17 페이지 / 전적]

제사에 쓰는 술.

제주(祭酒)[경게가라 17 페이지 / 전적]

제사에 쓰는 술.

제주(題主)[송강집(松江集三)3 79 페이지 / 전적]

장일(葬日)에 신주(神主)를 조성하고 면(面)에 글을 씀을 일컬음.

제주어선(濟州漁船)[호남가(湖南歌) 3 페이지 / 전적]

제주(濟州)는 원래 전라남도에 예속되었던 관계로 제주의 고기잡이배를 넣은 것이다.

제중신편(濟衆新編)[고분가 8 페이지 / 전적]

조선 정조 때에 강명길이 지은 의서(醫書)로 『동의보감』을 비롯한 고금의 의서를 참고로 하여 지었으며 제1~제7 권에는 신체 각 부의 질병에 대한 증상과 약방문을 적고, 제8권에는 중요한 약물의 효능을 4언 4구의 약성가로 짓고 구절마다 약명을 한글로 표기하였다.8권 5책의 목판본이다.

제중신편(濟衆新編)[고분가 8 페이지 / 전적]

조선 정조 때에 강명길이 지은 의서(醫書)로 『동의보감』을 비롯한 고금의 의서를 참고로 하여 지었으며 제1~제7 권에는 신체 각 부의 질병에 대한 증상과 약방문을 적고, 제8권에는 중요한 약물의 효능을 4언 4구의 약성가로 짓고 구절마다 약명을 한글로 표기하였다.8권 5책의 목판본이다.

제중신편(濟衆新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0 페이지 / 전적]

조선 정조 때에 강명길이 지은 의서(醫書). ≪동의보감≫을 비롯한 고금의 의서를 참고로 하여 지었으며 제1권에서 제7권까지에는 신체 각 부의 질병에 대한 증상과 약방문을 적고, 제8권에는 중요한 약물의 효능을 4언 4구의 약성가로 짓고 구절마다 약명을 한글로 표기하였다. 8권 5책의 목판본.

제쥬을[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제주(祭酒)를. 제사를 지낼 때 쓰는 술.

제지소이위제(弟之所以爲弟)[창덕가2 62 페이지 / 전적]

동생이 동생 되는 까닭.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