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어버이의……한데[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69 페이지 / 전적]

《論語 里仁》에 ‘부모의 나이는 알지 않을 수 없다.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다.‘고 한 말에서 인용하였음.

어변성룡(魚變成龍)[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9 페이지 / 전적]

물고기가 변하여서 용이 된다는 말. 아주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되거나 보잘것없던 사람이 큰 인물이 됨을 이르는 말.

어변성룡(魚變成龍)[지리산이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물고기가 변하여 용이 되었다는 뜻으로, 어릴 적에는 신통하지 못하던 사람이 자란 뒤에 훌륭하게 되거나 아주 곤궁(困窮)하던 사람이 부귀하게 됨을 이름.

어별(魚鼈)[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6 페이지 / 전적]

물고기와 자라.

어복(魚腹)[잣치가라(치라) 35 페이지 / 전적]

고기 뱃속.

어복(魚腹)[옥단춘전이라 21 페이지 / 전적]

물고기의 배.

어복충혼(魚腹忠魂)[자치가 13 페이지 / 전적]

물에 빠져 죽은 충성스러운 넋.

어사(御使)[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3 페이지 / 전적]

왕명으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지방에 파견되던 임시 벼슬.

어사(御使)[허후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왕명으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지방에 파견되던 임시벼슬.

어사(於事)[효행가(孝行歌) 3 페이지 / 전적]

일에.

어사대(御史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8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에, 정사를 논의하고 풍속을 바로잡으며 백관을 감찰·탄핵하던 관아. 성종 14년(995)에 사헌대를 고친 것으로, 현종 5년(1014)에 금오대로 바꾸었다가 충렬왕 원년(1275)에 감찰사로 고쳤다.

어사주(御賜酒)[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5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아랫사람에게 내린 술.

어사죽(御賜竹)[유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이 하사한 대나무.

어사화[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9 페이지 / 전적]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던 종이꽃.

어사화(御史花)[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에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던 종이꽃.

어사화(御史花)[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 문과와 무과의 과거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내리던, 종이로 만든 꽃.

어사화(御史花)[신힁가라 2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던 종이꽃.

어사화(御史花)[소상팔경가 7 페이지 / 전적]

문무과에 급제한 자에게 임금께서 친히 내려주는 조화.

어사화(御史花)[자치가 8 페이지 / 전적]

문무과에 급제한 자에게 임금께서 친히 내려주는 조화.

어사화(御賜花)[화전가1 16 페이지 / 전적]

장원급제하여 임금으로부터 직접 받은 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