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양장구곡(羊腸九曲)[쳥츈상심곡(쳥츈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구곡양장, 구절양장(九折羊腸).양의 창자처럼 구불구불 험한 산길.

양장명신(良將名臣)[옥셜화답 4 페이지 / 전적]

어진 장군과 이름난 신하.

양장의 백팔 구비[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24 페이지 / 전적]

험준한 고개로서 세상의 길의 어려움에 비함.《明一統志》에 ‘양장령(羊腸嶺)은 소주부(蘇州府) 천평산(千平山) 남쪽에 있는데 염소 창자 같이 구불구불하므로 이름이 되었다.‘ 하였다.

양저(讓苴)[거창가라 14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군사감찰.

양저(讓苴)[아림가(娥林歌) 15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군사감찰.

양전(量田)[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5 페이지 / 전적]

토지를 측량(測量)하는 일.

양전문명(兩全文明)[명륜가(明倫歌) 43 페이지 / 전적]

두 가지 다 온전한 문명으로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을 가리킴.

양전장관(兩銓長官)[송강집(松江集五)5 73 페이지 / 전적]

동전(東銓) 서전(西銓) 즉 이조와 병조의 장(長)을 이름

양절일(兩節日)[명륜가(明倫歌) 39 페이지 / 전적]

두 명절.

양정(楊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6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조 때의 무신(?~1466)으로 한명회의 추천으로 수양대군 휘하에 들어가 김종서, 황보인 등의 제거에 가담하였다. 공조 판서, 평안도 도절제사 등을 지내고, 뒤에 세조의 선위를 건의하다 처형되었다.

양정(兩鄭)[송강집(松江集一)1 126 페이지 / 전적]

정언신(鄭彦信) 정언지(鄭彦智) 형제를 이름.

양주(楊州)[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7 페이지 / 전적]

경기도 북동쪽에 있는 군(郡).

양주(楊州)[한양가라 17 페이지 / 전적]

경기도 의정부(議政府)의 옛이름.

양주(楊州)[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경기도 양주군.

양주(楊州)[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경기도 중북부에 있는 시로 동쪽은 포천시와 동두천시, 서쪽은 고양시와 파주시, 남쪽은 의정부시와 서울특별시 강북구, 북쪽은 연천군과 접한다.

양주(楊朱)[송강집(松江集一)1 53 페이지 / 전적]

淮南子說林에「楊子見岐路而哭之爲其可以南可以北」이라 하였음.

양주(楊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6 페이지 / 전적]

「楊墨」―楊朱 墨翟의 合稱임. 楊氏는 그 說이 爲我를 主로하여 털 하나를 뽑아 天下를 利롭게 한다 해도 하지 않고 墨氏는 兼愛를 主로하여 磨頂放踵에 이르러도 꼭하므로 兩者가 正히 相反됨.

양주(楊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52 페이지 / 전적]

「楊朱泣」-갈림길을 보고서 感傷한 바 있음을 이름. 淮南子說林에『楊子見逵路而泣之 爲其可以南可以北』이라 했는데 註에『逵路는 波路이라』라 했음.劉克莊에 『灑泣俄悲墨子岥』가 보임.

양주(楊朱)[석천집(石川集二-三)2-3 48 페이지 / 전적]

양자(楊子). 춘추전국시대 때 위(衛)나라 사람. 자(字)는 자거(子居). 노자(老子)에게 배웠다는 얘기도 있고, 묵자(墨子)보다 후대의 사람이라고도 하나 확실하지 않다. 저서는 전하지 않고, 자신의 머리털 하나를 뽑아 천하를 위한다고 할지라도 할 수 없다는 이기론(利己論)을 주장하여, 묵자(墨子)의 겸애설(兼愛說)과 대조를 이룬다.

양주(兩主)[회혼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바깥주인과 안주인이라는 뜻으로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