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양두사(兩豆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두(頭)는 용머리의 이마 같은 형국이면 중심이 되는데, 두 개의 머리라면 중심이 없는 흐트러진 형세가 된다.

양두사(兩豆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두(頭)는 용머리의 이마 같은 형국이면 중심이 되는데, 두 개의 머리라면 중심이 없는 흐트러진 형세가 된다.

양두사(兩豆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두(頭)는 용머리의 이마 같은 형국이면 중심이 되는데, 두 개의 머리라면 중심이 없는 흐트러진 형세가 된다.

양둔(陽遁)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양방(陽方)으로 숨어들면.

양둔(陽遁)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양방(陽方)으로 숨어들면.

양둔(陽遁)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양방(陽方)으로 숨어들면.

양띠[제주여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미(未).십이지(十二支)의 하나.양을 상징함.

양란(洋亂)[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3 페이지 / 전적]

양요(洋擾)와 같은 말로 조선후기 서양 세력이 천주교 탄압이나 통상 문제 따위를 빌미로 일으킨 난리를 말함.. 조선 고종 3년(1866)에 대원군이 천주교를 탄압하자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침범하여 일으킨 병인양요와 고종 8년(1871)에 미국 군함이 통상을 강요하기 위하여 강화도를 침범하여 일으킨 신미양요가 있음.

양래음작(阳來阴作)[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 페이지 / 전적]

양수로 와서 음수로 자리가 나 있음.

양례(襄禮)[오륜가라 35 페이지 / 전적]

장례(葬禮).

양례(襄禮)[옥산가라 30 페이지 / 전적]

장례(葬禮). 장사를 지내는 일.

양로(養老)[광애가(廣愛歌) 3 페이지 / 전적]

늙으신 부모를 봉양함.

양류 맹동(萌動[대동가(동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버드나뭇과 버드나무속의 식물이 싹이 남.

양류(楊柳)[류월정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버드나무과에 딸린 갈잎큰키나무. 높이는 10m 이상(以上)이고 잎은 길둥글며 가에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함. 가지는 가늘고 길게 죽죽 뻗고 4월에 잎보다 먼저 꽃이 피는 데, 이것을

양류(楊柳)[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버드나뭇과에 속한 낙엽 교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양류(楊柳)[옥산가라 11 페이지 / 전적]

버드나무(버드나뭇과 버드나무속의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양류(楊柳)[고분가 10 페이지 / 전적]

버드나무.

양류(楊柳)[고분가 10 페이지 / 전적]

버드나무.

양류(楊柳)[운청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버들나무.

양류(楊柳)[별한가 19 페이지 / 전적]

버드나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