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양위분[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버이나 어버이처럼 존대할 사람의 내외분. 혹은 죽은 사람의 부부.
양위선생(兩位先生)[경화가(警和歌) 28 페이지 / 전적]
수운과 청림선생.
양위선생(兩位先生)[경화가(警和歌) 28 페이지 / 전적]
수운과 청림선생.
양유(養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89 페이지 / 전적]
「養由的」― 養由基는 春秋時楚人으로 활을 잘쏘는 자이다. 일찌기 갑옷을 모와놓고 쏴서 七札을 뚫어서 그 사실이 左傳成公十六年에 보이고 또 陽葉을 百步밖에 떨어저서 百發百中하였다. 이 사실은 漢書枚乘傳에 나타나 있음.的은 射侯의 中임
양유색(楊柳色)[호남가라 3 페이지 / 전적]
버드나무의 색.
양유자(楊柳者)라[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버드나무이라.
양유청청(楊柳靑靑)[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버들가지 푸릇푸릇.
양육은공(養育恩功)[츅친서라 3 페이지 / 전적]
아이를 보살펴서 자라게 해준 은혜과 공로.
양육은정(養育恩情)[명륜가(明倫歌) 41 페이지 / 전적]
양육하고 사랑하는 마음.
양육지은(養育之恩)[경노의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아이를 보살펴서 자라게 해준 은혜.
양율기[활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초나라 왕의 신하로 활의 명사수였던 장수 양유기(養由基)를 일컫는 것으로 추측된다.
양을나(梁乙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5 페이지 / 전적]
탐라를 개척하였다는 세 신인(神人) 가운데 하나이다.
양을모아 판이되고[효봉구고치산가 12 페이지 / 전적]
한 냥 두 냥을 모아 단(꾸러미)이 되고. 단은 묶음 꾸러미를 말함. 돈의 꾸러미. ‘판’은 ‘단’의 잘못된 표기이다.
양을모혀[복션화음록 11 페이지 / 전적]
한 냥을 모아. ‘양’은 ‘한냥’의 준말.
양의(两儀)[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5 페이지 / 전적]
음(陰)과 양(陽)을 가리키는 말.
양의(楊意)[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71 페이지 / 전적]
「楊意」-즉 楊得意인데 漢人으로 武帝의 拘監이 되었음.『武帝는 일찌기 司馬相如의 子虗賦를 읽고서 稱善하며 하는 말이「朕獨不得與此人同時哉」하자 得意는 말하기를 「臣邑人司馬相如 自言爲此賦』라 하니 武帝는 놀래어 마침내 相如를 불러보았다. 相如는 또 大人賦를 지어올리니 上은 「飄飄然有凌雲天地間意』라하였음. 漢書 司馬相如傳에 보임.
양의(兩儀)[궁장가(宮墻歌) 4 페이지 / 전적]
양과 음 또는, 하늘과 땅을 말함.
양의(兩儀)[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양(陽)과 음(陰). 또는 하늘과 땅.
양의사상(両儀四象)[창덕가2 31 페이지 / 전적]
양의는 음과 양 천지(天地)를 말하고, 사상은 이에서 나온 태음(太陰), 태양(太陽), 소음(少陰), 소양(小陽)을 말함.
양의사상(両儀四象)[창덕가2 32 페이지 / 전적]
양의는 음과 양 천지(天地)를 말하고, 사상은 이에서 나온 태음(太陰), 태양(太陽), 소음(少陰), 소양(小陽)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