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양역(良役)[거창가라 2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16세부터 60세까지의 양인 장정에게 부과하던 공역(公役).노역에 종사하는 요역(徭役)과 군사적인 목적의 군역(軍役)이 있었다.
양역(良役)[아림가(娥林歌) 2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16세부터 60세까지의 양인 장정에게 부과하던 공역(公役). 노역에 종사하는 요역(徭役)과 군사적인 목적의 군역(軍役)이 있었다.
양영사(兩纓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갓을 쓴 것 같은 형세의 사(砂). 영(纓)은 갓끈의 뜻.
양영사(兩纓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갓을 쓴 것 같은 형세의 사(砂). 영(纓)은 갓끈의 뜻.
양영사(兩纓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갓을 쓴 것 같은 형세의 사(砂). 영(纓)은 갓끈의 뜻.
양왕[팔역가(八域歌) 11 페이지 / 전적]
송양왕국 곧 비류국
양왕(梁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38 페이지 / 전적]
「梁王」-漢景帝의 아들 劉武를 말함. 梁王은 宮室과 苑囿를 好營하여 賓客을 招致하였음. 李白詩에 十載客梁園의 句가 있는데 이를 들어 말한 것임.
양왕의 좋은 일[축산별곡 8 페이지 / 전적]
양왕이 무산(巫山)의 선녀와 운우지정(雲雨之情)을 나누었다는 이야기.
양욱[초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정양욱 혹은 정생. 이춘매의 벗으로, 춘매와 더불어 승상이 됨.
양욱[초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정양욱 혹은 정생. 이춘매의 벗으로, 춘매와 더불어 승상이 됨.
양웅(楊雄)[송강집(松江集五)5 137 페이지 / 전적]
논어(論語)를 모방하여 양자법언(楊子法言)를 지은 대문장가이다
양웅(楊雄)[석천집(石川集二-三)2-3 117 페이지 / 전적]
이름은 혜(惠)로 수문제(隋文帝)의 조카. 수문제가 우위대장군(右衛大將軍)으로 조정(朝政)의 일에 참여하게 했으나 도량이 크고 하급 관리들에게 관용을 베풀어 조야(朝野)의 민심이 다 그에게로 기울었다. 이를 염려한 문제는 그를 두려워해서 사공(司空)의 직책으로 바꾸고 병권(兵權)을 빼앗았다. 이에 양웅은 두문불출하고 빈객도 만나지 않았다.
양원[팔역가(八域歌) 39 페이지 / 전적]
명나라 장수
양원(梁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7 페이지 / 전적]
「梁園」―梁孝王의 兎園을 말함.
양원에 우뚝한 매추[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208 페이지 / 전적]
양원(梁園)은 서한(西漢) 경제(景帝) 때 양 효왕(梁孝王)이 만든 토원(兎園). 거기에서 술에 취해 춤추고 즐기며 사부(辭賦)에 능한 사람을 좋아했는데, 매승(枚乘)과 추양(鄒陽)이 제일 걸출했다 함.《史記 司馬相如傳》
양월(涼月)[ 1 페이지 / ]
가을 밤의 달, 서늘한 달.
양위(兩位)[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고인이 된 부부 혹은 부모나 부모처럼 섬기는 사람의 내외분.
양위(兩位)[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고인이 된 부부 혹은 부모나 부모처럼 섬기는 사람의 내외분.
양위(兩位)[두껍전이라(겁젼이라) 8 페이지 / 전적]
부모나 부모처럼 섬기는 사람의 내외분.
양위(兩位)[죽엽가(쥭엽가) 8 페이지 / 전적]
부모나 부모처럼 섬기는 사람의 내외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