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양모배자[은삭가 11 페이지 / 전적]

양털을 넣어 만든 배자. 배자(褙子)는 추울 때에 부녀자들이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

양모배자[은삭가 11 페이지 / 전적]

양털을 넣어 만든 배자. 배자(褙子)는 추울 때에 부녀자들이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

양모사(羊毛絲)[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9 페이지 / 전적]

양털로 만든 실.

양미(兩美)4[송강집(松江集三)3 14 페이지 / 전적]

대〔竹〕와 바위〔巖〕를 말함.

양미(糧米)[김씨효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양식으로 쓰는 쌀.

양민공(襄敏公)[애부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손소(孫昭). 계성군(鷄城君)의 둘째 아들. 조선시대의 문신. 1467년 이시애의 난 때 종사관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 2등에 책록되었으며 내섬시정에 특진됨. 공조참의 등을 거쳐 계천군에 봉해졌고 이어 진주목사 등을 지냈음.

양민공(襄敏公)[애부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손소(孫昭). 계성군(鷄城君)의 둘째 아들. 조선시대의 문신. 1467년 이시애의 난 때 종사관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 2등에 책록되었으며 내섬시정에 특진됨. 공조참의 등을 거쳐 계천군에 봉해졌고 이어 진주목사 등을 지냈음.

양민공(襄敏公)[가사애부가(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손소(孫昭).계성군(鷄城君)의 둘째 아들.조선시대의 문신.1467년 이시애의 난 때 종사관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 2등에 책봉 책록되었으며 내섬시정에 특진됨.공조참의 등을 거쳐 계천군에 봉해졌고 이어 진주목사 등을 지냈음.

양백란(梁伯鸞)[한별곡 15 페이지 / 전적]

후한 시대 어질고 덕이 높았던 사람.

양백연(梁伯燕)[한별곡 14 페이지 / 두루마리]

양홍(梁鴻). 후한 때 인물. 중국 4대 추녀에 들어가는 맹광(孟光)을 처로 삼아 깊은 산속에 살면서 글을 떨친 인물. 빼어난 부부를 지칭함.

양백지간(两白之間)[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5 페이지 / 전적]

양백 간.양백이란 짝을 이루는 두 진인(眞人) 즉, 궁을을 이른다.

양보음(梁甫吟)[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일명 양부음(梁父吟). 중국의 악부(樂府), 상화가사(相和歌辭), 초조곡(楚調曲)의 하나. 사람이 죽어서 양보(梁甫)의 산에 장사지내는 만가(輓歌)로서 제갈량 (諸葛亮)의 제작이라 함.

양보음(梁甫吟)[송강집(松江集二)2 107 페이지 / 전적]

제갈량(諸葛亮)이 양보음(梁甫吟)을 노래하기 좋아했음.

양보음(梁甫吟)[송강집(松江集三)3 27 페이지 / 전적]

시(詩)의 이름인데 제갈량(諸葛亮)이 지음. 三國志에「諸葛亮躬耕龍畝好 爲梁甫吟」

양복(陽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 페이지 / 전적]

「陽復」- 易 地雷復이 十一月에 해당하여 一陽이 始生하므로 陽復이라 함。

양봉래(楊蓬萊)[금강산유람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왕조 중기의 서예가인 양사언(楊士彦, 1517~1584). 봉래(蓬萊)는 그의 호. 자는 응빙(應聘). 회양군수(准陽郡守)로 있을 때, 금강산에 들어가 만폭동(萬瀑洞)에 '봉래풍악 원화동천(蓬萊楓嶽 元化洞天)'이란 글씨를 썼다고 함.

양부(兩斧)[송강집(松江集三)3 38 페이지 / 전적]

술과 색(色)을 이름.

양붕 가객(良朋嘉客)[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좋은 친구와 아름다운 나그네.

양비대담(攘臂大談)[창덕가2 46 페이지 / 전적]

소매를 걷어 올리고 큰소리를 침.

양비대담(攘臂大談)[창덕가2 47 페이지 / 전적]

소매를 걷어 올리고 큰소리를 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