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양안(兩眼)[고분가 16 페이지 / 전적]
양쪽의 두 눈.
양안(兩眼)[고분가 16 페이지 / 전적]
양쪽의 두 눈.
양안(兩眼)[벌교사(벌교) 4 페이지 / 전적]
두 눈.
양안낙루(兩眼落淚)[축원하온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두 눈에서 흐르는 눈물.
양안누수(兩眼淚水)[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두 눈의 눈물.
양안兩岸[ 1 페이지 / ]
두 언덕.
양액(兩腋)[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양쪽 겨드랑이
양양(揚揚)[츅친서라 5 페이지 / 전적]
뜻한 바를 이룬 만족한 빛을 얼굴과 행동에 나타내는 모습.
양양(洋洋)[ 1 페이지 / ]
물고기가 천천히 생기를 띠고 꼬리를 흔드는 모양.
양양(洋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0 페이지 / 전적]
「洋洋」-流動充滿의 뜻임. 中庸 鬼神章에「洋洋乎如在其上 如在其左右」라 하였음.
양양(漾漾)[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①떠돌아다니는 모양 ②흔들흔들 움직이는 모양.
양양(漾漾)[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①떠돌아다니는 모양 ②흔들흔들 움직이는 모양.
양양(漾漾)[차운 11 페이지 / 전적]
떠돌아 다니는 모양. 흔들흔들 움직이는 모양.
양양(穰穰)[연행별곡(연별곡) 31 페이지 / 전적]
많고 넉넉함.
양양(穰穰)[죽엽가(쥭엽가) 1 페이지 / 전적]
많고 넉넉함.
양양(襄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3 페이지 / 전적]
「寒食襄陽」―初唐 詩人 宋之問의 寒食詩에「可憐江浦望 不見洛橋人」 이 있음.
양양(兩兩)[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0 페이지 / 전적]
쌍쌍이.
양양(兩兩)[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6 페이지 / 두루마리]
짝지어 나는 모양.
양양의 방덕공[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07 페이지 / 전적]
후한 양양(襄陽) 사람으로 현산(峴山) 남쪽에 살면서 성시 (城市)를 가까이 하지 않았다. 형주자사(荊州刺史), 유표(劉表)가 찾아가서‘선생은 벼슬을 받지 않으니 무엇으로 자손에게 남겨 주겠오 ?‘하니, 그가‘남들은 모두 위태로움을 주는데 나만은 편안함을 주겠습니다.‘ 하였으며, 건안(建安) 중에는 처자를 데리고 녹문산(鹿門山)에 들어가 은거하는 등 검소한 생활을 하였다.《尙友錄一》
양양자득(揚揚自得)[명륜가(明倫歌) 42 페이지 / 전적]
뜻과 같이 되어서 몹시 뽐내며 꺼드럭거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