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양주(兩主)[자치가 16 페이지 / 전적]
바깥 주인과 안 주인이라는 뜻으로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
양지(陽地)[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5 페이지 / 전적]
볕이 바로 드는 땅.
양지(養志)[효성가라 2 페이지 / 전적]
부모의 뜻을 받들어 지극한 효도를 다하는 일.
양지(養志)[양친가(養親歌) 4 페이지 / 전적]
부모의 뜻을 받들어 지극한 효도를 다하는 일
양지(養志)[효행가(孝行歌) 8 페이지 / 전적]
부모(父母)의 뜻을 받들어 지극(至極)한 효도(孝道)를 다하는 일.
양지(養志)[대효가(大孝歌) 2 페이지 / 전적]
부모(父母)의 뜻을 받들어 지극(至極)한 효도(孝道)를 다하는 일.
양지(良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 페이지 / 전적]
「知能」- 良知와 良能으로 즉 固有의 天性을 말한 것임.
양지사각(兩枝砂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7 페이지 / 전적]
양지(兩枝)는 정룡(正龍)이 아닌 적은 규모로 내룡을 따라 내려오는 작은 청룡과 백호의 능선을 말한다. 사각(砂角)은 작은 뾰족한 사(砂).
양지사각(兩枝砂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7 페이지 / 전적]
양지(兩枝)는 정룡(正龍)이 아닌 적은 규모로 내룡을 따라 내려오는 작은 청룡과 백호의 능선을 말한다. 사각(砂角)은 작은 뾰족한 사(砂).
양지사각(兩枝砂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양지(兩枝)는 정룡(正龍)이 아닌 적은 규모로 내룡을 따라 내려오는 작은 청룡과 백호의 능선을 말한다. 사각(砂角)은 작은 뾰족한 사(砂).
양지양구(養志養口)[츅친서라 13 페이지 / 전적]
양지(養志)는 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리는 것이고, 양구(養口)는 달고 맛있는 음식을 부모님이 드시도록 봉양하는 것을 말한다.
양지양능(良知良能)[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2 페이지 / 전적]
교육이나 경험에 의하지 않고 선천적으로 사물을 판단하고 행할 수 있는 마음의 작용.
양지양능(良知良能)[자경별곡 6 페이지 / 전적]
교육이나 경험에 의하지 않고 선천적으로 사물을 판단하고 행할 수 있는 마음의 작용.
양지양능(良知良能)[ 1 페이지 / ]
교육이나 경험에 의하지 않고 선천적으로 사물을 판단하고 행할 수 있는 마음의 작용.
양지양능(良知良能)[자경별곡(自警別曲) 3 페이지 / 전적]
교육이나 경험에 의하지 않고 선천적으로 사물을 판단하고 행할 수 있는 마음의 작용.
양지양능(良知良能)[양친가(養親歌) 6 페이지 / 전적]
깊은 생각을 하지 않고도 알고, 배우지 않고도 행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뜻. 즉 선천적으로 사물을 알고 행할 수 있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
양지양체(養志養體)[양친가(養親歌) 4 페이지 / 전적]
부모의 뜻을 잘 받들고 몸을 잘 봉양하는 것
양지육지(養支育支)[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양육하다.
양지첨사(兩枝尖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두개의 지룡(枝龍)의 뾰족한 사(砂)의 형세.
양지첨사(兩枝尖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두개의 지룡(枝龍)의 뾰족한 사(砂)의 형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