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양택(陽宅)24[그리져리구경하고 6 페이지 / 전적]
풍수지리에서, 살아 있는 사람의 집터를 이르는 말.
양테안경[명륜가(明倫歌) 66 페이지 / 전적]
서양식 안경테로 만든 안경.
양파(陽坡)[ 1 페이지 / ]
햇빛이 잘 드는 곳.
양평지재(良平之才)[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6 페이지 / 전적]
고조(漢高祖) 시대의 장량(張良)과 진평(陳平)같은 인재.
양한수명(養閑守命)[소상팔경가 31 페이지 / 전적]
오래사는 것.
양협(兩頰)[여행록이라(여녹이라) 4 페이지 / 전적]
두 뺨.
양협(兩頰)[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3 페이지 / 전적]
얼굴의 두 뺨.
양협(量狹)한[도슈샤 3 페이지 / 전적]
도량이 좁은.
양호[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장수.
양호[팔역가(八域歌) 46 페이지 / 전적]
정유재란 당시 명나라 총독
양호(羊祐)[슈절자탄가 12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의 양양태수로서 선정(善政)을 베풀었던 인물. 태수로 있을 때 양양성의 현산(峴山)을 자주 거닐었음.
양호(羊祐)[슈절자탄가 12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의 양양태수로서 선정(善政)을 베풀었던 인물. 태수로 있을 때 양양성의 현산(峴山)을 자주 거닐었음.
양호(陽虎)[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8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노(魯)나라 사람. 노사(魯師)에게 쫓기어 제(齊)나라로 달아난 뒤 다시 진(晉)으로 도망하였음.
양호(陽虎)[ 1 페이지 / ]
중국 춘추시대의 노(魯)나라 사람.
양호(陽虎)[자경별곡(自警別曲) 2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노(魯)나라 사람.
양호(兩湖)[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9 페이지 / 전적]
전라도(湖南)와 충청도(湖西)를 말함.
양호(兩湖)[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20 페이지 / 전적]
호서(湖西)와 호남(湖南).
양호필(羊毫筆)[타미계라(라미키라) 3 페이지 / 전적]
양털로 촉을 만든 붓.
양호필(羊毫筆)[타미계라(라미키라) 3 페이지 / 전적]
양털로 촉을 만든 붓.
양혹(梁鵠)[가사애부가(가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후한에서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살았던 서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