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어난셔[셕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어느 설에.

어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1 페이지 / 전적]

「某水丘」― 韓愈送 楊巨源序에 「某水某丘 吾童子時 所釣遊者也」라 하였는데 여기는 이에 取해온 것임.

어느 곳에 있든지 그곳이 바로 강동일세[석천집(石川集二-二)2-2 166 페이지 / 전적]

장한은 고향인 강동의 농어회가 먹고 싶어서 벼슬을 버리고 떠났다.

어닌말고[복션화음록 6 페이지 / 전적]

어인 말인가.

어대[옥룡자이기론 56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때부터 명나라 때까지 사용한, 금과 은으로 만든 물고기 모양의 符信

어대(魚帒)[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5 페이지 / 전적]

고기 가죽으로 만든 주머니. 唐代 5품 이상의 관리가 어부를 넣어 차는 주머니.

어대(魚대)[평지행룡(平地行龍) 2 페이지 / 전적]

고기 가죽으로 만든 주머니. 唐代 5품 이상의 관리가 어부를 넣어 차는 주머니.

어대(魚대)[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 페이지 / 전적]

고기 가죽으로 만든 주머니. 唐代 5품 이상의 관리가 어부를 넣어 차는 주머니.

어대어소(語大語小)[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73 페이지 / 전적]

「語大語小」-中庸 費隱章에「君子語大 天下莫能載焉 語小 天下

어더러온 기븨니세라[효봉구고치산가 14 페이지 / 전적]

어떻게 해서든 기쁘게 해야 한다.

어동육서(魚東肉西)[ 1 페이지 / ]

어동육서(魚東肉西)를 말함. 즉,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찬(饌)은 동쪽, 육 고기 찬(饌)은 서쪽에 놓는 일.

어동육서(魚東肉西)[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6 페이지 / 전적]

어동육서(魚東肉西)를 말함. 즉,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찬(饌)은 동쪽, 육 고기 찬(饌)은 서쪽에 놓는 일.

어두(魚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9 페이지 / 전적]

「魚頭」―出源이 未詳함.

어두가면[착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는 ‘어두괴면’으로 되어 있으나 ‘어두가면(魚頭假面)’의 오기일 것이다. 물고기의 머리 모양의 가면을 쓴 나찰

어두귀면(魚頭鬼面)[일회심곡(一回心曲) 5 페이지 / 전적]

물고기 머리에 귀신 낯짝이라는 뜻으로, 몹시 흉한 얼굴을 이르는 말.

어두귀면(魚頭鬼面)[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9 페이지 / 전적]

물고기 머리에 귀신의 얼굴이라는 뜻으로 몹시 흉한 얼굴을 이르는 말.

어두귀면나찰(魚頭鬼面那刹)[서가여래가사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물고기의 머리에 흉악한 얼굴을 한 나찰.

어두귀면나찰(魚頭鬼面那刹)[서가여래가사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물고기의 머리에 흉악한 얼굴을 한 나찰.

어두철관(魚頭鐵冠)[송강집(松江集五)5 93 페이지 / 전적]

충경(忠鯁)함을 이름. 宋史 魯宗道傳에 「宗道爲叅政 人曰魚頭公以忠鯁 目之」

어둑[고분가 7 페이지 / 전적]

많이의 옛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