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양춘가절(陽春佳節)[녹이춘유가라(록이춘유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따뜻하고 좋은 봄철.
양춘가절(陽春佳節)[녹이춘유가라(록이춘유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따뜻하고 좋은 봄철.
양춘곡(陽春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48 페이지 / 전적]
「陽春曲」-陽春白雪曲을 말한 것인데 古歌曲임. 文選 宋玉對椘王問에 『其爲陽春白雪 國中屬而和者 不過數十人』이라 하였음.
양춘백설(陽春白雪)[소년애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초(楚)나라의 고상(高尙)한 악곡(樂曲)의 이름으로, 고상(高尙)한 노래는 가락을 맞추어 같이 부르는 사람이 적음, 전(傳)하여 뛰어난 언행(言行)을 이해(理解)하는 사람은 지극(至極)히 적음을 이르는 말.
양춘백설(陽春白雪)[소년애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초(楚)나라의 고상(高尙)한 악곡(樂曲)의 이름으로, 고상(高尙)한 노래는 가락을 맞추어 같이 부르는 사람이 적음, 전(傳)하여 뛰어난 언행(言行)을 이해(理解)하는 사람은 지극(至極)히 적음을 이르는 말.
양춘백설(陽春白雪)[한탄가 8 페이지 / 전적]
초(楚)나라의 고상(高尙)한 악곡(樂曲)의 이름으로, 고상(高尙)한 노래는 가락을 맞추어 같이 부르는 사람이 적음, 전(傳)하여 뛰어난 언행(言行)을 이해(理解)하는 사람은 지극(至極)히 적음을 이르는 말.
양춘백설곡(陽春白雪曲)[녁대가(녁가) 36 페이지 / 전적]
중국 楚(초)나라에서, 가장 고상하다고 하던 가곡. 훌륭한 사람의 말과 행동은 보통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움을 비유함. 송옥(宋玉)의 <대왕초문(對楚王問)>에 나옴.
양춘삼월(陽春三月)[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3 페이지 / 전적]
후천의 3월, 용화선경 시대가 시작되는 때.
양츈[ 1 페이지 / ]
양춘陽春. 따뜻한 봄철, 또는 음력 정월의 별칭.
양친(養親)[사친가2(思親歌(二)) 16 페이지 / 전적]
길러 준 부모. 부모를 봉양하는 것.
양친(兩親)[후원초당 봄이듯이 7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님.
양친구고(兩親舅姑)[동국조선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양태부(梁太傅)[거창가라 8 페이지 / 전적]
가의(賈誼).중국 전한(前漢) 문제 때의 학자ㆍ정치가(B.C.200~B.C.168).문제(文帝)를 섬기며 유학과 오행설에 기초를 한 새로운 제도의 시행을 주장하였다.저서에 '좌씨전훈고(左氏傳訓詁)', '신서', '복조부(鵩鳥賦)' 따위가 있다.
양태부(梁太傅)[아림가(娥林歌) 8 페이지 / 전적]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 문제 때의 학자ㆍ정치가(B.C.200~B.C.168). 문제(文帝)를 섬기며 유학과 오행설에 기초를 한 새로운 제도의 시행을 주장하였다. 저서에 '좌씨전훈고(左氏傳訓詁)', '신서', '복조부(鵩鳥賦)' 따위가 있다.
양태삼태(兩胎三胎)[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두 쌍둥이, 세 쌍둥이.
양태삼태(兩胎三胎)[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두 쌍둥이, 세 쌍둥이.
양태삼태(兩胎三胎)[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두 쌍둥이, 세 쌍둥이.
양태자(楊太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7 페이지 / 전적]
「楊太子」―隋文皇의 太子인데 이름은 勇임. 文皇은 讒言을 믿어 마침내 太子를 廢하고 晋王 廣을 太子로 삼게되었으니 이가 煬帝였다.
양택(陽宅)[그리져리구경하고 11 페이지 / 전적]
마을이나 고을의 터.
양택(陽宅)[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 페이지 / 전적]
명당의 좋은 집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