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양홍(楊弘)[녁대가(녁가) 48 페이지 / 전적]
후한 말기 남양 태수 원술(袁術)의 막료로 『삼국지연의』에서는 양대장(陽大將)으로 등장함. 199년, 원술(袁術)이 죽자 장훈(張勳) 등과 함께 손책(孫策)에 의지하다가 그 도상에서 원술의 잔당인 여강태수(廬江太守) 유훈(劉勳)에게 매복 당해 포로가 되었음.
양화[팔역가(八域歌) 48 페이지 / 전적]
마포에 있던 나루, 양천, 강화 방면으로 가는 나루
양화(釀禍)[고분가 19 페이지 / 전적]
재앙이나 화근을 빚어냄.
양화(釀禍)[고분가 19 페이지 / 전적]
재앙이나 화근을 빚어냄.
양화도(楊花渡)[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7 페이지 / 전적]
서울 마포 서남쪽 잠두봉 아래에 있던 조선시대의 나루. 삼진(三鎭)의 하나로 양화진영(楊花鎭營)이 있었으며, 양천에서 강화로 이어지는 중요한 나루터였다.
양황(梁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3 페이지 / 전적]
「梁皇餓臺城」―梁武帝 蕭衍은 佛敎를 崇信하여 同泰寺에서 三度를 捨身하였으며、侯景이 來降하자 받아들이고、魏가 와서 求成하자、또 許했다。侯景이 叛하여 臺城을 攻陷하니 武帝는 마침내 餓死하였음。
양회지[숙덕부인도덕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왕희지의 오기인 듯함. 왕희지(王羲之)는 중국 진나라 때 서예가. 자는 일소(逸少)이고 해서, 행서, 초서에 특히 능했다는 대서예가.
양훈(良訓)[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4 페이지 / 전적]
좋은 교훈(敎訓).
양[ 1 페이지 / ]
㉮ 양자樣姿. 겉으로 나타난 모양이나 모습.㉯ 양자樣子. 얼굴의 생긴 모양.
얘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9 페이지 / 전적]
繾綣」―서로 떨어질 줄 모른다는 말임. 左傳昭公二十五年「繾綣從公」의 구절이 있는데 註에「離散하지 않는다는 뜻이다」라하였음.
얘기하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5 페이지 / 전적]
「鶴姓丁」-遼東人 丁令威의 化鶴의 故事를 인용한 것임
얘기해다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0 페이지 / 전적]
「梗槩」―大略의 뜻임.後漢書杜篤傳에「臣略知梗槩 不敢具陳」이라 했음.
어(魚) 자와 노(魯) 자 분별[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0 페이지 / 전적]
魚 자와 魯 자를 분별하지 못하는 아주 무식함을 ‘어로불변(魚魯不辨)’이라 함을 참조.
어(魚) 자와 노(魯) 자 분별[ 1 페이지 / ]
魚 자와 魯 자를 분별하지 못하는 아주 무식함을 ‘어로불변(魚魯 不辨)’이라 함을 참조.
어(魚) 자와 노(魯) 자 분별[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0 페이지 / 전적]
魚 자와 魯 자를 분별하지 못하는 아주 무식함을 ‘어로불변(魚魯 不辨)’이라 함을 참조.
어가일곡(漁歌一曲)[초한가라 3 페이지 / 전적]
고기 잡으며 부르는 노래.
어긋나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0 페이지 / 전적]
「差池」―짜란하지 않다는 뜻임. 左傳襄公二十二年 「而何敢差池」라는 대문이 있는데 註에 「差池 不齊也」라 하였음.
어긋지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2 페이지 / 전적]
「蹉跎」―때를 잃은 것을 말함.晋書周處傳에 「欲自修 而年已蹉跎」의 대문이 있음.
어기어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1 페이지 / 전적]
「拋梁」-世俗이 官室을 營搆하면 반드시 吉日을 擇하여 上梁을 하므로 親賓이 麪이나 기타 雜物을 싸가지고 와서 稱慶하면 이것을 匠人들에게 먹인다 그러면 匠人의 長이 麪을 梁에 던지며 上梁文을 외우고 祝福을 함。
어기여차[소상팔경가 30 페이지 / 전적]
여럿이 힘을 합할 때 일제히 내는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