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양사(兩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두 가지 일.
양사(兩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두 가지 일.
양산기구(梁山箕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5 페이지 / 전적]
양산의 가업을 이어받는다는 말. ‘기구(箕裘)’는 가업을 이어받는다는 말.
양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7 페이지 / 전적]
「梁甥」― 鼓巖 仲明을 말함 見上.
양생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2 페이지 / 전적]
「養生書」―道家의 養生方을 말함。晋人 嵇康이 養生論을 著述 하였음
양생송사(養生送死)[명륜가(明倫歌) 35 페이지 / 전적]
살아 계실 때는 잘 봉양하고 돌아가셔서는 잘 장사지내는 일.
양생이 입에다 구슬을 물고서[석천집(石川集二-二)2-2 195 페이지 / 전적]
옛날 전쟁에서 패배한 장수가 입에 구슬을 물고 와서 항복했다.
양선음선(陽旋陰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볕과 그늘이 번갈아 도는 것, 즉 양과 음의 순환.
양선음선(陽旋陰旋)[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볕과 그늘이 번갈아 도는 것, 즉 양과 음의 순환.
양성(良聲)[축산별곡 5 페이지 / 전적]
좋은 소리.
양소良宵[ 1 페이지 / ]
좋은 밤.
양수(两手)[경장가(敬長歌) 5 페이지 / 전적]
두 손.
양수(兩手)[유회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양 손. 두 손.
양수(兩手)[운청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두 손.
양시[석천집(石川集二-四)2-4 68 페이지 / 전적]
『股內廉近陰處』
양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1 페이지 / 전적]
「聚糧」― 千里의 길을 간다는 말임. 莊子 逍遙遊에 「適千里者三月聚糧」이라 하였음.
양식(養式)[효행가(孝行歌) 8 페이지 / 전적]
부모가 거주하는 환경을 편안하게 해드리는 것.
양식(養式)[대효가(大孝歌) 2 페이지 / 전적]
부모가 거주하는 환경을 편안하게 해드리는 것.
양식(糧食)[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0 페이지 / 전적]
①살림살이에 드는 식량(食糧).식량(食糧).양향(糧餉) ②(지식(知識)ㆍ물질(物質)ㆍ사상(思想) 따위)정신(精神) 활동(活動)을 하거나 생활(生活)을 하는 데에 으뜸(원천(源泉))으로 되는 것.
양식(糧食)[연행별곡(연별곡) 20 페이지 / 전적]
①살림살이에 드는 식량(食糧).식량(食糧).양향(糧餉) ②(지식(知識)ㆍ물질(物質)ㆍ사상(思想) 따위)정신(精神) 활동(活動)을 하거나 생활(生活)을 하는 데에 으뜸(원천(源泉))으로 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