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신방(辛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4 페이지 / 전적]
서북 방향.
신방(辛方)[구산가(求山歌) 5 페이지 / 전적]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서(正西)에서 남(南)으로 30도 각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
신방(辛方)[호남비결(湖南秘訣) 6 페이지 / 전적]
이십사방위의 하나.정서(正西)에서 북으로 30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
신병(神兵)[한양가라 64 페이지 / 전적]
신이 보낸 군사라는 뜻으로 적이 도저히 맞싸울 수 없는 강한 군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신병(身柄)[여행록이라(여녹이라) 3 페이지 / 전적]
보호나 구금의 대상이 되는 본인의 몸.
신보화명(信步花鳴)[민탄가(民歎歌) 16 페이지 / 전적]
산보화명(散步花鳴 : 꽃을 보고 새소리를 들으며 산보함)의 뜻인 듯함.
신보화명(信步花鳴)[어부사(漁父辭) 2 페이지 / 전적]
산보화명(散步花鳴 : 꽃을 보고 새소리를 들으며 산보함)의 뜻인 듯함.
신복(臣僕)[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7 페이지 / 전적]
신하(臣下).
신복(臣僕)[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7 페이지 / 전적]
신하(臣下).
신복(臣僕)[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7 페이지 / 전적]
신하(臣下).
신복(臣僕)[대명복수가(명복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신하(臣下).
신복(臣僕)[대명복수가(명복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신하(臣下).
신부(新府)[용담가라 2 페이지 / 전적]
새롭게 형성된 도읍. 지금의 서울. 조선조에서의 한양(漢陽).
신부녀(新婦女)[사친가2(思親歌(二)) 15 페이지 / 전적]
신부가 된 계집.
신부명양(身富名揚)[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7 페이지 / 전적]
시집오는 며느리들이 이름을 날림.
신부산망(新婦産亡)[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33 페이지 / 전적]
신부가 아이 낳다가 죽는다.
신부소귀(新婦소歸)[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0 페이지 / 전적]
신부가 집으로 돌아옴.
신사(新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2 페이지 / 전적]
「新絲」- 聶夷中의 傷田家詩에「二月賣新絲」가 있음.
신사년(辛巳年)[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1941년.
신사당(新祠堂)[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7 페이지 / 전적]
죽은 지 오래되지 않은 조상의 위패를 모셔 놓은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