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신사사화(辛巳士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7 페이지 / 전적]
1521년(중종 16년)에 안처겸(安處謙) 일파들이 심정, 남곤 등에 의하여 화를 입은 사건이다. 기묘사화로 인하여 세력을 잃은 안당(安塘)의 아들 안처겸은 남곤, 심정이 사림(士林)을 해치고 왕의 총명을 흐리게 한다하여 이들을 제거 할것을 모의 하였다. 때마침 안처견이 모친상을 당했는데 남곤의 부하 송사련(宋祀蓮)은 여기에 방문하 사람들의 명단을 적어, 이들이 대신을 해치려 한다고 무고하여 관계된 많은 사람들이 처형되는 큰 옥사(獄死)가 일어났다.
신상(身上)[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8 페이지 / 전적]
한 사람의 몸이나 처신, 또는 그의 주변에 관한 일이나 형편.
신상(身上)[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 사람의 몸이나 처신 또는 신세(身世).
신상(身上)[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 사람의 몸이나 처신 또는 신세(身世).
신상(身上)[경노의심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의 신변에 관계된 형편.
신상(身上)[모여상사가라(모여사가라) 1 페이지 / 전적]
한 사람의 몸이나 처신.
신상(身上)[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 페이지 / 전적]
일신(一身) 상(上)에 관(關)한 일.또는, 몸 또는 처신(處身)에 관계(關係)된 모양(模樣).
신상(身上)[합강정가(合江亭歌) 7 페이지 / 전적]
일신(一身) 상(上)에 관(關)한 일.또는, 몸 또는 처신(處身)에 관계(關係)된 모양(模樣).
신상반흔단(身上斑痕段)[구쟉가 9 페이지 / 전적]
몸에 얼룩진 상처.
신색(神色)[권왕가 8 페이지 / 전적]
남을 높이어 그의 안색을 이르는 말. 진금(眞金) : 순금(純金). 진짜 금
신색(神色)[환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상대편의 안색을 높여 이르는 말.
신색(神色)[환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상대편의 안색을 높여 이르는 말.
신서(申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서인 가운데 신흠을 중심으로 조직한 분파.
신선(神仙)[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9 페이지 / 전적]
선도(仙道)를 닦아서 도에 통(通)한 사람.선경(仙境)에 사는 데 신변 자재(神變自在)하여 장생 불사한다고 함.인선(人選), 천선(天仙), 지선(地仙), 수선(水仙)의 구별(區別)이 있음.
신선(神仙)[합강정가(合江亭歌) 13 페이지 / 전적]
선도(仙道)를 닦아서 도에 통(通)한 사람.선경(仙境)에 사는 데 신변 자재(神變自在)하여 장생 불사한다고 함.인선(人選), 천선(天仙), 지선(地仙), 수선(水仙)의 구별(區別)이 있음.
신선대(神仙臺)[석촌별곡 5 페이지 / 전적]
종산의 이마 부분에 있는 석대. 기암괴석이 아름다워 옛날 신선들이 모여 바둑을 두었다고 한다.
신선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5 페이지 / 전적]
杜甫詩에 「行遲更覺仙」의 句가 있음
신선인[팔역가(八域歌) 16 페이지 / 전적]
신라 때의 4신선, 곧 술랑, 남랑, 영랑, 안
신선주(神仙酒)[수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신선계에서 빚은 불로불사(不老不死)의 술.
신선주(神仙酒)[수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신선계에서 빚은 불로불사(不老不死)의 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