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신명(神明)[견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천지(天地)의 신령.

신명(身命)[교훈가 1 페이지 / 전적]

몸과 목숨.

신명(身命)[북쳔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몸과 목숨.

신명(身命)[시절가 10 페이지 / 전적]

몸과 목숨을 아울러 이르는 말.

신명(身命)[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목숨.

신명(身命)[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목숨.

신명니 극즁와[형제붕우소회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신명(身命)이 극중(極重)하여.

신명사(神明舍)[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신령을 모신 집.

신명사(神明舍)[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신령을 모신 집.

신목여전(神目如電)[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6 페이지 / 전적]

신의 눈은 번개와 같음. 곧, 자신의 양심을 속이는 일을 하면 안됨.

신묘(神妙)[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0 페이지 / 전적]

신기(神奇)하고 영묘(靈妙)함.

신묘(神妙)[연행별곡(연별곡) 20 페이지 / 전적]

신기(神奇)하고 영묘(靈妙)함.

신묘(神廟)[금강산유람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조상의 신주를 모신 사당.

신묘·임진(辛卯·壬辰)[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27 페이지 / 두루마리]

1951년과 1952년.

신묘년[육십회갑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1951년.

신묘년[팔역가(八域歌) 33 페이지 / 전적]

1591년

신묘년(1591) 귀양 갔을 때[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49 페이지 / 전적]

신묘년(1591년, 선조 24)에 정철이 건저(建儲)문제(세자 책봉에 관한 의견)를 제기했다가 실각하고 유배를 가게 된 사건. 국왕인 선조에게는 적자(嫡子)가 없었는데, 당시 좌의정이던 정철은 우의정 유성룡(柳成龍)등과 상의하고 선조에게 건저할 것을 주청 하였는데, 영의정인 이산해(李山海)는 정철이 광해군을 왕세자로 올리고 인빈 김씨와 그 아들인 신성군을 죽이려 한다는 뜻으로 인빈 김씨를 사주하였다. 이를 전해들은 선조는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대노하였고, 이 사건을 계기로 정철은 삭탈관직되어 유배를 당하게 되었고. 서인의 주요 인사는 대부분 숙청되고 조정은 완전히 동인이 장악하게 되었다

신묘년(辛卯年)[반심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1951년.

신무문(神武門)[송강집(松江集六)6 39 페이지 / 전적]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킬 때 이문으로 들어갔다

신무문(神武門)[셔유곡 20 페이지 / 전적]

서울 북악산(北岳山) 남쪽에 위치한 경북궁의 북문. 임금이 경무대에서 거행되는 과거장에 행차할 때만 열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