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식미(式微)[송강집(松江集三)3 29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상고에 여(黎) 나라 군신(君臣)이 나라를 잃고 위(衛) 나라에 붙어 있으면서 그 쇠미함을 읊은 슬픈 시(詩)다. 詩經 邶風에「式微式微微君之故胡 爲乎中露」

식미(食味)[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입맛.

식미(食味)[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입맛.

식불감미(食不甘味)[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5 페이지 / 전적]

근심 걱정으로 음식을 먹어도 맛이 없음.

식비(飾非)[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4 페이지 / 전적]

비행(非行)을 그럴싸하게 꾸밈.

식산흥업(殖産興業)[명륜가(明倫歌) 48 페이지 / 전적]

생산을 늘리고 산업을 일으킴.

식여낼 제[명륜가(明倫歌) 16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이 때가 지나 시들하게 될 때.

식영정(息影亭)[성산별곡 3 페이지 / 전적]

김성원이 자신의 스승이자 장인인 석천 임억령(石川 林億齡)을 위해 지어 준 정자.

식영정(息影亭)[석천집(石川集二-五)2-5 123 페이지 / 전적]

담양군 남면 지곡리(芝谷里)의 별뫼[星山]에 있는 정자. 김성원(金成遠)이 장인인 임억령(林億齡)을 위해 지어 주었다는 집이다. 이곳에서 성산 사선(星山四仙)은 <식영정 이십영> 등 많은 시문을 수창 하였으며, 정철은 전원 가사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성산별곡>을 제작하였다.

식육(食肉)하되 염어(厭飫)하여[시양병가(侍養病歌) 1 페이지 / 전적]

고기를 먹되 싫을 때까지 먹어.

식육부귀(食肉富貴)[로인가 9 페이지 / 전적]

맛있는 고기만 먹어가면서 누리는 부귀.

식음(食飮)을 감손(減損)[회경가 19 페이지 / 전적]

먹던 음식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말함

식자(識者)[거창가라 27 페이지 / 전적]

학식, 견식, 상식이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

식자(識者)[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2 페이지 / 전적]

학식, 견식, 상식이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

식자(食子)[녁대가(녁가) 38 페이지 / 전적]

아들을 먹음. 악양(樂羊)이 중산(中山)을 정벌할 때, 중산의 왕이 악양의 아들 악서를 죽인 뒤 고깃국을 만들어 악양에게 보냈으나, 악양이 그것을 태연히 마시고 중산을 정복한 고사를 가리킴.

식전 방장(食前方丈)[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사방 열 자의 상에 잘 차린 음식이라는 뜻으로, 호화롭게 많이 차린 음식을 이르는 말

식전(食前[북쳔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아침 먹기 전.

식전방장(食前方丈)[양친가(養親歌) 5 페이지 / 전적]

자기 자리 앞에 진수 성찬을 10자 사방 가량 늘어 놓음. 아주 잘 차려진 음식을 말함

식전방장(食前方丈)[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10 페이지 / 전적]

사방 열 자의 상에 차려놓은 음식이라는 뜻으로 호화롭게 많이 차린 음식을 이라는 말.

식전방장(食前方丈)[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맛있는 음식을 사방으로 한 길이나 되게 차려 놓은 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