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신뢰(迅雷)[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20 페이지 / 전적]

몹시 맹렬(猛烈)한 우레.

신릉군(信陵君)[거창가 9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 위(魏)나라의 소왕(昭王)의 공자(公子)이며 안리왕(安釐王)의 이모제(異母弟)로 이름은 무기(無忌)이고, 신릉군은 그의 봉호(封號)임. 식객(食客)이 삼천명이나 되었음.

신릉군(信陵君)[거창가 9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 위(魏)나라의 소왕(昭王)의 공자(公子)이며 안리왕(安釐王)의 이모제(異母弟)로 이름은 무기(無忌)이고, 신릉군은 그의 봉호(封號)임. 식객(食客)이 삼천명이나 되었음.

신릉군(信陵君)[거창가라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 위(魏)나라의 정치가(?~B.C.244).이름은 무기(無忌).문하에 식객 3천 명을 거느렸다고 한다.제나라의 맹상군, 초나라의 춘신군, 조(趙)나라의 평원군(平原君)과 함께 전국(戰國) 말기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불린다.

신릉군(信陵君)[아림가(娥林歌) 1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 위(魏)나라의 정치가(?~B.C.244). 이름은 무기(無忌). 문하에 식객 3천 명을 거느렸다고 한다. 제나라의 맹상군, 초나라의 춘신군, 조(趙)나라의 평원군(平原君)과 함께 전국(戰國) 말기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불린다.

신립(申砬)[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5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무장(1546~1592). 자는 입지(立之). 한성부 판윤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왜군을 막다가 전사하였다.

신마(信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0 페이지 / 전적]

「信馬」-말이 뜻대로 달리게 두는 것을 이름. 韓愈의 嘲少年詩에 『祗知閑信馬 不覺誤隨車』라는 句가 있음.

신막등춘삼월(慎莫登春三月), 자규재명월루(子規啼明月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5 페이지 / 전적]

춘삼월 두견새 울 때 명월루에 오르지 말라.

신만퇴(申晩退)[송강집(松江集七)7 114 페이지 / 전적]

신응구(申應榘)의 호(號)

신말주(申末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5 페이지 / 전적]

조선전기의 문신(1439~?)으로 1451년(문종 1) 생원에 올라 이어 1454년(단종 2) 16세 때 문과에 급제하였다. 내외 관직을 역임하고 사간원대사간에 이르렀으나, 세조에 의해 단종이 왕위에서 물러나자 관직을 버리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신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5 페이지 / 전적]

「神衹」- 衹는 地神을 이름. 神衹는 天神地衹를 말함. 書經에「敢昭告于上下神衹」라 하였음.

신명[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흥겨운 신이나 멋.

신명[남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흥겨운 신이나 멋.

신명[남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흥겨운 신이나 멋.

신명[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흥겨운 멋이나 기분.

신명[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명(身命). 신세와 목숨.

신명(神命)[추월감 4 페이지 / 두루마리]

신의 명령.

신명(神命)[환무자탄가 21 페이지 / 전적]

신의 명령.

신명(神明)[사친가1(思親歌(一)) 11 페이지 / 전적]

천지의 신령.

신명(神明)[견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천지(天地)의 신령.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