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시화연풍(時和年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1 페이지 / 전적]
나라가 태평하고 풍년이 듦.
시화태평(時和太平)[옥설가라 6 페이지 / 전적]
나라가 태평함.
시화팔괘(始畫八卦)[막소가(莫笑歌) 13 페이지 / 전적]
맨 처음 팔괘를 그리다.
시획팔(始劃八)[해몽가라(몽가라) 5 페이지 / 전적]
처음으로 팔획을 그음. 복희씨가 팔괘를 만든 것을 가리킴.
시획팔괘(始劃八卦)[쳥츈상심곡(쳥츈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처음으로 팔괘를 그려 보임
시사리[셕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살이.
시산천 가가[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댁산천(媤宅山川)은 가까울까.
시계워[ 1 페이지 / ]
시름겨워. 근심을 못 이겨.
시쳬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시하체면(侍下體面).
시 사람이라[형제붕우소회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시하(侍下)에 사람이라.
식객(食客)[녁대가(녁가) 34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세력 있는 대갓집에 얹혀 있으면서 문객 노릇을 하던 사람.
식거(植炬)[합강정가(合江亭歌) 6 페이지 / 전적]
밤에 임금이 나들이할 때에, 길 양쪽에 횃불을 늘여 세우던 일. 또는 그 횃불.
식견(識見)[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학식과 견문이라는 뜻으로, 사물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이르는 말.
식견(識見)[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학식과 견문이라는 뜻으로, 사물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이르는 말.
식견(識見)[한별곡 24 페이지 / 전적]
①사물(事物)을 식별(識別)하고 관찰(觀察)하는 능력(能力) ②학식(學識)과 견문(見聞).
식경(食頃)[외손별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밥을 먹을 동안이라는 뜻으로, 잠깐 동안을 이르는 말.
식경(食頃)[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8 페이지 / 전적]
①한 끼의 음식(飮食)을 먹을 만한 시간(時間) ②얼마 안 되는 동안.
식경(食頃)[연행별곡(연별곡) 8 페이지 / 전적]
①한 끼의 음식(飮食)을 먹을 만한 시간(時間) ②얼마 안 되는 동안.
식과(式科)[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7 페이지 / 전적]
과거 보이는 시기를 정한 해로서 사년마다 한 번씩 돌아옴
식근(食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3 페이지 / 전적]
밥, 식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