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시조(市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0 페이지 / 전적]
「市朝」―都會地를 말함. 古語에「爭名者於朝 爭利者於市」라하였음.
시조(市朝)[민탄가(民歎歌) 15 페이지 / 전적]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또는 물건이 많이 모이는 곳.
시조(市朝)[어부사(漁父辭) 1 페이지 / 전적]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또는 물건이 많이 모이는 곳.
시조(時調)[몽별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문학에서, 고려 말기부터 발달하여 온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6구 4음보의 기본 형태를 가진 평시조와 파격의 엇시조, 사설시조로 나뉨.
시조(時調)[몽별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문학에서, 고려 말기부터 발달하여 온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6구 4음보의 기본 형태를 가진 평시조와 파격의 엇시조, 사설시조로 나뉨.
시조모(媤祖母)[무제(양신택졍하여) 8 페이지 / 전적]
시할머니.
시조삼장(時調三章)[타령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시조의 형식을 말함. 시조를 짓고 노래함.
시종(始終)[벌교사(벌교) 11 페이지 / 전적]
처음과 끝.
시종여일(始終如一)[김씨효행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한결같음.
시종여일(始終如一)[신절가(臣節歌) 4 페이지 / 전적]
처음이나 나중이 한결같아서 변함 없음.
시종조리(始終條理)[화전가1 14 페이지 / 전적]
시작과 마무리의 조리(條理).
시종조리(始終條理)[화전가2 14 페이지 / 전적]
시종일관 조리(條理)가 있다.
시좌(侍㘴)[유례가(幼禮歌) 3 페이지 / 전적]
어른을 모시고 앉음. 또는 임금이 정전에 나갈 때 세자가 그 옆에서 모시던 일.
시주(施主)[회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화주(化主). 중에게, 또는 절에 물건을 베풀어주는 사람. 또는 그 일.
시주(施主)[조씨가천소리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이나 절에 물건을 베풀어 주는 일.
시주(施主)[여자행신가 11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자비심으로 조건 없이 절이나 승려에게 물건을 베풀어 주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
시주(施主)[여자행신가 11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자비심으로 조건 없이 절이나 승려에게 물건을 베풀어 주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
시주(施主)[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불교에서 중이나 절에 물건을 바침.
시주(施主)[한별곡 9 페이지 / 전적]
승려나 절에 물건을 베풀어 주는 일.
시주(施主)님[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비심으로 조건 없이 절이나 승려에게 물건을 베풀어 주는 사람.